바이든 행정부에서 중국과 한반도 문제 등을 맡고 있는 커트 캠벨 조정관이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국의 코로나19 퇴치 지원과 글로벌 백신 공급 강화 협력 방안이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대북 정책과 관련해서는 싱가포르 합의를 토대로 한다면서 한반도의 비핵화 달성을 위해 실용적인 조치를 강구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형근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캠벨 조정관은 한국 언론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한미 간 현안에 대한 미국의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한미 백신 스와프와 관련해서는 "정상회담에서 미국이 코로나19와 싸우고 있는 한국을 지원할 방법이 논의될 것으로 확신한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백신 스와프는 미국이 백신난을 겪는 한국에 여분의 백신을 제공한 뒤 추후 한국이 이를 갚는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캠벨 조정관의 답변은 백신 스와프도 정상회담의 의제에 포함된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. <br /> <br />한국의 백신 양산 능력을 활용한 '아시아 백신 공급 허브' 구상과 관련해서도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"미국과 한국 모두 주요 백신 제조국"이라면서 "글로벌 공급을 강화하기 위해 협력해야 한다"고 양국 협력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재인 대통령의 미국 방문 기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 백신의 위탁생산 계약을 할 것이라는 전망과 맞물려, 캠벨 조정관 역시 백신 제조창으로서 한국의 역할과 위상을 인정한 것이어서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과 관련해서는 '싱가포르 합의'를 토대로 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목표로 가는 과정에서 실용적인 조치를 강구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과 일본, 호주, 인도 네 나라가 구성한 '쿼드'와 관련해서는 현시점에선 확대 계획이 없다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한국과 아세안 등과 역내 협력을 확대하는 방안은 염두에 두고 있음을 내비쳤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형근[hk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51919271724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