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관평원은 현재 청사가 대전에 있습니다. <br> <br>지어놓고 가지 못한 신청사는 세종시에 있죠. <br> <br>관평원은 관련 부서가 모여 있는 정부세종청사에 더 가까이 가려고 신청사를 지으려 했다고 주장하는데요. <br> <br>저희가 거리를 재봤더니, 지금 청사나, 신청사나 세종청사까지 불과 11분 차이였습니다. <br> <br>11분 아끼자고 혈세 171억 원을 날린 겁니다. <br> <br>김태영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관세청 산하 관세평가분류원이 세종시 이전을 추진하기 시작한 건 지난 2015년. <br><br>세종시 이전의 필요성이라며 관평원이 내세운 가장 큰 이유는 정부세종청사에 있는 중앙 부처와의 긴밀한 업무협조였습니다. <br> <br>업무 관련성이 높은 기획재정부나 산업통상자원부에 가까워지는 효과로, 회의 등을 위해 이동하는 거리도 줄고 협업이 더 수월해 질 거라는 논리였습니다. <br> <br>실제로 이동 거리 단축효과는 얼마나 될까. <br> <br>[김태영 기자] <br>"대전 유성구 관세평가분류원에서 정부세종청사에 있는 기획재정부까지 차를 타고 가보겠습니다. <br><br>관평원을 출발한 지 27분 만에 기획재정부 앞에 도착했습니다." <br> <br>기획재정부에서 새로 지은 관평원 세종청사까지는 차량으로 16분이 걸렸습니다. <br> <br>대전에서 갈 때 보다 단축된 이동시간은 11분이었습니다. <br> <br>산업통상자원부로 갈 때에는 차량 네비게이션으로 검색해 봤습니다. <br> <br>대전 청사에서는 24분, 세종 신청사에서는 14분 걸리는 걸로 예상됐습니다. <br> <br>세종시로 이전을 해도 시간 절약효과는 10분이었던 겁니다. <br> <br>관평원 세종청사에 좀더 가까이 가봤습니다. <br> <br>인기척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. <br> <br>소화기는 작동조차 안 되고, 전기자동차 충전기는 거미집이 됐습니다. <br> <br>주위엔 술병 뚜껑과 맥주캔이 나뒹굽니다. <br> <br>[세종시 반곡동 주민] <br>"(완공을) 해놓고서는 그냥 무용지물로 돼 있다는 것은 굉장히 낭비잖아요." <br><br>[세종시 반곡동 주민] <br>"혈세를 좀먹는 원성을 받을 수밖에 없는 거잖아요. 타당치 않은 거예요." <br><br>완공 1년이 되도록 입주도 못하는 유령 청사에 투입된 혈세는 171억 원에 이릅니다. <br> <br>그런데도 누구 하나 책임지는 사람이 없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태영입니다. <br> <br>liv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승환 <br>영상편집 : 유하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