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전 전사자 이름 새긴 美 '추모의벽' 착공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미정상회담을 마치고 문재인 대통령이 향한 곳은 워싱턴DC '추모의벽' 착공식이었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수도 한복판에 한국전쟁 전사자들의 이름을 새긴 조형물이 들어섭니다.<br /><br />보도에 정영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'추모의 벽'은 워싱턴DC 한국전 참전용사 기념공원에 세워집니다.<br /><br />둘레 55m의 원형 화강암 벽에 한국전에서 전사한 미군 3만6천명과 미군에 배속돼 참전한 카투사 7천명의 이름을 새깁니다.<br /><br />미국에서 외국 군인의 이름을 새긴 기념비가 건립되는 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 "71년전 미국의 청년들은 포연에 휩싸인 한반도로 달려왔습니다. 알지도 못하는 나라, 만난적도 없는 국민을 지키기 위해 참전한 미국의 아들과 딸들이었습니다."<br /><br />2차 세계대전과 베트남전 참전비와 달리, 한국전쟁 기념비에는 전사자들의 이름이 없다는 문제 의식에서 '추모의 벽' 프로젝트가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건립을 위한 법안이 2016년 미국 하원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됐지만, 미국 정부자금 없이 민간기부를 받도록 돼 있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해 현충일 추념사에서 내년까지 '추모의 벽'을 완공하겠다고 밝히면서 첫삽을 뜨게 됐습니다.<br /><br />한국전쟁 참전용사에 대한 감사와 한·미 우호 증진의 뜻을 담기 위해 한국 정부가 270억원의 건립예산 대부분을 부담했습니다.<br /><br /> "참전용사의 피와 땀, 우애와 헌신으로 태동한 한미동맹은 사람과 사람, 가치와 가치로 강하게 결속되며 발전해왔습니다. 앞으로도 동맹의 힘이 필요한 순간마다 한국은 변함없이 미국과 함께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문 대통령의 착공식 참석은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국 퇴역군인의 명예훈장 수여식 참석에 이은 '한미동맹' 강조 행보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'추모의 벽'은 1년여 공사를 거쳐 내년 가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영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