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조진혁 앵커 <br />■ 출연 :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오늘 새벽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한미동맹과 북핵 문제 못지않게 경제 협력과 관련한 성과가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한미 파트너십을 구축해 백신 대량생산을 촉진하기로 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인철 참조은경제 연구소장과 함께 백신을 비롯한 한미 경제협력 관련 내용 자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어서 오십시오. 먼저 백신 문제부터 짚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한미가 포괄적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해서 백신 생산을 효율적으로 앞당기기로 합의를 했는데 구체적으로 양국이 어떤 역할을 맡게 되는 건가요? <br /> <br />[이인철] <br />일단 미국이 백신 관련 약속한 건 크게 두 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일단 한국군에게 55만 명분을 백신을 제공하겠다라는 것과 또 큰 그림에서 보면 한국과 포괄적인 백신 파트너십을 체결하겠다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우리 입장에서 보면 안정적으로 우리가 만들고, 만든 백신을 확보할 수 있는 그런 길을 열어놨고 또 하나는 미국의 백신 관련 기술을 이전받아서 우리가 아시아 지역에서 글로벌 백신의 생산국의 허브로 발돋움할 수 있는 계기가 됐는데 미국 입장에서 보면 당장 레시피를 갖고 있는데 이 레시피를 가지고 가장 빨리 만들 수 있는 국가들이 어디냐? 생산량 측면에서 백신은 미국에 이어서 한국이 2위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 측면에서 굉장히 미국이 전략적 선택을 했다라는 거고요. 미국은 이미 남아도는 8000만 회분을 해외에 공급을 하겠다라고 얘기를 했지만 구체적으로 국가를 지정하지는 않았고요. <br /> <br />다만 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될 것이다라고 얘기를 했거든요. 그런데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요충지이지만 그 인근에서 생산 잘하는 국가는 한국이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보니까 이번 포괄적 백신 파트너십에 대해서 구체적인 역할이 어떻게 되는 거냐라는 이 질문에 대해서는 앞으로 과학자, 전문가, 그리고 양국 정부 공무원으로 구성된 고위급 전문가 그룹이 조만간 발족이 될 것으로 보이고 또 하나, 국제기구에 대한 기여금을 상향조정하겠다라고 얘기를 했기 때문에 이 백신을 가지고 외교하려는 미국의 백신외교에 우리나라가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됐다라는 데 의미를 둘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우리나라 백신 숨통이 좀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52215144371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