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우리가 갖고 간 보따리에는 대기업 투자 약속이 가득 들어있었습니다. <br><br>반도체, 배터리 첨단 산업 분야에서 중국을 견제하고 싶어하는 미국으로선 “고맙다”는 말을 연발할 만큼 풍성한 보따리였는데요. <br><br>안보 뿐 아니라, 산업분야에서도 두 나라가 동맹 수준으로 손을 잡게 될 거란 평가가 나옵니다. <br><br>한수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, 44조 원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한 한국 대기업에 감사를 아끼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"회사의 대표님들, 자리에 계시면 잠시 일어나 주시겠습니까? 감사합니다, 감사합니다, 감사합니다." <br><br>바이든 대통령은 "미국에 정말 많은 일자리가 창출되고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분야의 공급망을 강화할 것"이라고 기대했습니다.<br> <br>정상회담에 앞서 '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'에 참석한 한국 기업인들은 대규모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. <br><br>삼성전자는 반도체 공장 설립에 약 19조 원을, SK 하이닉스는 신성장 분야 연구개발에 1조 원 이상을 투자합니다. <br> <br>LG 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 분야에서 GM 포드와 협력해 약 16조 원을 투자하고, 현대차는 미국 내 전기차 생산에 8조 원 이상을 투입합니다. <br> <br>문재인 대통령도 이번 투자에 의미를 부여했습니다. <br> <br>[한미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] <br>" 미국 기업들은 안정적인 부품 공급망을 확보하고, 한국 기업들은 더 넓은 시장을 개척하면서 함께 성장하게 될 것입니다. 양국뿐 아니라 세계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입니다." <br> <br>이번을 계기로 한국이 미중 첨단산업 패권 경쟁에서 미국 쪽으로 한 발 다가서며 한미동맹이 반도체 동맹, 배터리 동맹으로 진화할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[민정훈 / 국립외교원 교수] <br>"바이든 행정부가 대중국 견제를 하는 데 구체화되는 분야가 반도체.지금 반도체 동맹이 쿼드 플러스 동맹이나 이런 식의 또다른 모습, 같은 모습이에요." <br> <br>문 대통령은 내일 조지아주 애틀란타로 이동해 SK 이노베이션 배터리 공장을 방문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한수아입니다. <br> <br>sooah72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: 워싱턴 공동취재단 <br>영상편집: 김지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