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돈만 꿀꺽' 중고거래 사기…피해구제도 어려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필요한 물건을 저렴한 가격에 구할 수 있는 중고거래, 많이 이용하실 겁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돈을 보냈는데 정작 물건은 받지 못하는 피해자가 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소액 피해가 대부분이어서 검거나 처벌도 어렵습니다.<br /><br />구하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김모 씨는 최근 한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알게 된 휴대전화 판매자에게 30만 원을 보냈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열흘이 지나도 휴대전화를 받지 못했고, 판매자는 변명을 대며 발송을 미뤘습니다.<br /><br />자신의 신상정보까지 밝히며 믿음을 줬던 판매자는 알고 보니 상습범이었습니다.<br /><br /> "신분을 아예 다 노출하니까. 설마 사기는 아니겠지 싶었는데… 저 말고 수많은 사람한테 사기를 쳤더라고요."<br /><br />피해액은 천 만 원이 넘습니다.<br /><br />경찰이 수사에 착수했지만, 이렇다 할 조치는 아직 없습니다.<br /><br /> "소액이라서 (수사에) 몇 달이 걸릴 수도 있다, 이 정도 들었습니다. 소액은 신고를 잘 안 하는 점을 이용하는 것 같습니다."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 이후 비대면 거래가 증가하면서 중고거래도 늘자 이 같은 사기가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통계에 따르면 인터넷 중고거래 사기 건수는 최근 3년 사이 두 배 넘게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경찰이 수차례 특별 단속을 벌이며 예방에 나섰지만, 소액 피해가 대부분이라 방지하기도 어렵고 피해금을 되돌려 받기도 어려운 상황.<br /><br />향후 중고거래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, 안심 거래 체계를 구축하고 처벌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구하림입니다. (halimkoo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