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, 시작합니다.<br> <br>이번 문재인 대통령 미국 방문을 통해 한-미, 두 나라 백신 공조가 윤곽을 드러냈습니다. <br><br>특히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미국산 모더나 백신을 위탁생산하게 되면서 국내에서 최첨단 mRNA 백신까지 생산할 수 있게 됐는데요.<br> <br>먼저 안건우 기자가 어떤 의미인 건지 짚어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미국 제약사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이 삼성바이오로직스를 통해 국내에서 위탁 생산됩니다. <br> <br>이미 아스트라제네카, 노바백스, 스푸트니크V 백신이 위탁생산 중이지만, mRNA 백신은 처음입니다. <br> <br>세계 2위의 바이오 생산국인 한국이 mRNA까지 맡게 되면서 글로벌 백신 허브의 요건을 갖추게 됐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 <br> <br>[한미 백신기업 파트너십(현지시간 어제)] <br>"이제 미국과 한국은 글로벌 백신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생산기지를 확보하게 됐습니다." <br><br>다만 그동안 관심을 모았던 mRNA 기술 이전은 없었습니다. <br> <br>원액을 들여와 병에 나누어 넣는 완제 충전, 이른바 병입 방식입니다. <br><br>스위스 제약사 론자가 미국과 스위스에서 원액을 만들어 보내면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무균충전과 포장을 거쳐 주로 아시아태평양지역에 공급하게 될 전망입니다.<br> <br>3분기, 이르면 8월부터 수억 회 분량을 만들게 됩니다. <br> <br>[존 림/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] <br>"코로나19 대유행 종식을 앞당기겠다는 사명감으로 모더나 백신의 성공적이고 안정적인 공급전에 총력을 기울이겠습니다." <br><br>모더나 사는 그 밖에도 국내에 자회사를 설립하고 생산 설비에 투자하는 MOU도 체결했습니다. <br> <br>SK바이오사이언스는 보건복지부, 미국 노바백스 사와 손잡고 변이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차세대 백신 개발에 나섭니다.<br> <br>미 바이든 대통령은 이 같은 한미 백신 협력을 통해 내년까지 10억 도즈의 백신이 전 세계에 공급될 수 있을 걸로 전망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<br> <br>srv1954@donga.com<br>영상취재: 워싱턴공동취재단 <br>영상편집: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