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가검사키트로 확진자 27명 파악…"선제 발견 효과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서울시가 콜센터와 물류센터에서 자가검사키트 시범사업을 진행 중인 가운데,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자가검사키트를 활용해 코로나 확진을 파악한 사례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시는 현행 방역체계의 보완 장치로 자가검사키트의 활용 가치는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방준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서울 지역 콜센터와 물류센터에서 진행 중인 자가검사키트 시범 사업.<br /><br />키트에서 음성이 나온 경우에만 출근을 하도록 했는데, 첫째 주 검사에 참여한 1만 3천여 명 모두 음성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 "단체로 모여있는 공간이다 보니까 그런 검사를 통해서 안심하는 부분들이 있어서요. 꼭 해야 하느냐는 질문은 있었지만 대부분 긍정적인 반응…"<br /><br />이번 시범 사업과 별개로 자가검사키트를 통해 확진자를 조기에 발견한 사례가 나오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서울에서만 27명입니다.<br /><br /> "자가검사키트가 양성이 나온 후, 가족이 단체로 PCR 검사를 시행하여 확진자를 조기에 발견하는 등 자가검사키트의 높은 접근성을 활용하여 선제적으로 확진자를 발견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자가검사키트의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사용을 통해 고위험시설에서 집단 감염을 선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게 서울시 구상입니다.<br /><br />다만 정확도가 떨어지는 만큼, 방역 당국은 어디까지나 '보조적 수단'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검사 비용이 만만치 않은 만큼, 사업의 지속가능성에도 물음표가 남습니다.<br /><br />서울시는 물류센터의 경우 감염 위험이 높은 일용직에 한해서만 검사 비용을 지원하고 있는데, 시범 운영 첫 주에 18개 물류센터 중 단 3곳만 자발적으로 나머지 정규직 검사를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서울시는 다음 달 18일까지 시범 사업을 추진한 결과를 보고 추후 확대 여부를 검토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방준혁입니다. (bang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