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처럼 국민들의 반대가 극심한데도 일본이 취소하지 못하는 이유 ‘돈’ 때문입니다. <br> <br>일본이 먼저 취소할 경우, IOC에 엄청난 배상을 해야 한다는데요. <br> <br>IOC 역시 같은 이유로 눈치를 보고 있다고 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취소냐 강행이냐 최종 결정 시한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염정원 기자가 이어갑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일본에선 매일 신규 확진자가 약 4천 명씩 발생합니다. <br><br>올림픽 연기를 결정했던 지난해 3월 30일보다 40배 이상 많은 수치입니다.<br> <br>하지만 IOC와 일본은 올림픽 강행을 고수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먼저 취소를 주장하는 쪽이 천문학적인 규모의 배상을 책임져야 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IOC가 중계권으로 거둔 수익은 약 3조 원으로 올림픽이 취소될 경우 모두 물어내야 합니다. <br> <br>반대로 일본이 취소하면 배상 책임은 더 커집니다. <br> <br>중계권 등 각종 수익에 대한 배상은 물론, 일본 정부가 IOC와 맺은 계약 위반에 대한 책임도 져야 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[윤강로 / 국제스포츠외교원연구원장] <br>IOC가 굳이 취소할 필요 없죠, 타격을 입죠…스가 총리가 자꾸 (반대) 청원이 들어오니까 '올림픽을 최우선으로 놓지 않는다. IOC에 손에 달려있다 (라는 식으로 떠넘기는)…' <br> <br>올림픽 재연기나 취소를 할 때 정해진 기한은 없습니다.<br><br>하지만 선수와 관계자들의 업무를 고려하면 늦어도 다음달 말까지는 결정이 필요합니다. <br><br>IOC와 일본이 먼저 책임을 떠안지 않으려 버티고 있는 사이, 세계인의 축제가 전 세계의 걱정거리로 바뀌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염정원입니다. <br> <br>garden9335@donga.com <br>영상편집: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