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세계 실종 아동의 날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에서는 매년 2만여 명의 아동이 실종되는데, 현재까지 840명이 장기실종 아동으로 분류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실종 아동을 가족의 품으로 돌려주기 위한 인공지능 기술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진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해마다 아동 실종 신고는 대략 2만 건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다행히 이 가운데 99.5%의 아이들을 찾지만, 1년 넘도록 찾지 못한 아동도 840명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 20년이 넘도록 찾지 못한 아이들이 663명으로 전체의 78.9%나 됩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주목한 것은 CCTV를 활용해 실종 아동을 추적하는 기술입니다. <br /> <br />입고 있는 옷과 키, 신체적 특징을 입력하면 인공지능이 실종 지역 부근 대규모 CCTV 영상을 순식간에 검색합니다. <br /> <br />이어 비슷한 형태를 찾으면 CCTV 내의 이동 경로를 찾아 추적하는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[홍제형 / KIST AI 로봇연구소 : 아동이 실종됐을 때 12시간 내 찾을 확률이 50% 미만이고 하루 안에 찾을 확률이 30% 정도에 머뭅니다. 그래서 골든타임 내에 최대한 빨리 아동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됩니다.] <br /> <br />시간이 지나면 얼굴 형태도 달라집니다. <br /> <br />그 달라진 몽타쥬를 통계 기법을 활용해 자동 형성해 주는 기술도 개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10세에서 80세까지, 나이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얼굴을 예측해 실종 아동을 찾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생체정보 중 지문과 같은 역할을 하는 귀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현정 / KIST AI 로봇연구소 : 내이, 외이 또는 안쪽의 구조 정보들이 사람마다 달라 개인을 식별하기 좋고, 노화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실종 아동을 찾는 데 적합한 기술로 생각됩니다.] <br /> <br />인공지능을 이용해 온라인에 공개된 사진에서 몽타쥬, 귀 모습을 비교해 실종 아동을 찾아내는 기술도 연구 중입니다. <br /> <br />[김익재 / KIST AI 로봇연구소장 : 어린아이의 실종 당시 모습에서 요즘 SNS나 공개된 프로필 사진이 많은데 비교를 통해 적극적인 수색·탐색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연구진은 아동의 사진뿐 아니라 지문이나 측면 귀 사진을 찍어 놓는다면 혹시나 아이를 잃어버린 경우에 다시 찾을 확률이 크게 높아진다고 조언합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1052500212961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