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찰관의 무릎에 짓눌려 숨진 흑인 조지 플로이드 사건 발생 1년에 맞춰 미국 곳곳에서 경찰 개혁을 촉구하는 집회가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든 대통령은 해리스 부통령과 함께 유족을 만나 위로하고, 경찰 개혁 법안의 조속한 의회 통과를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조수현 기자가 호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뉴욕 도심에 시민들이 모였습니다. <br /> <br />1년 전, 경찰의 무릎에 짓눌려 숨진 조지 플로이드를 추모하고 경찰 개혁을 요구하기 위해서입니다. <br /> <br />플로이드는 무장강도 등의 강력 전과 9범이었고 사망 직전에도 마약을 복용한 상태로 드러났지만, 그렇다더라도 그의 죽음이 정당화될 수는 없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일라이자 그린 / 집회 참가자 : 지금처럼 똘똘 뭉쳐서 계속 시위를 하다 보면 미래에는 상황이 개선되리라 믿습니다.] <br /> <br />빌 더블라지오 뉴욕시장은 무릎을 꿇은 채 진정한 사법제도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빌 더블라지오 / 뉴욕시장 : 그(플로이드)는 떠났지만 우리는 여기 있고 우리가 워싱턴에서 임무를 완수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추모 행사는 사건 발생지인 미니애폴리스를 비롯해 LA와 수도 워싱턴DC 등 미국 곳곳에서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조 바이든 대통령은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함께 유족을 백악관으로 초청해 위로를 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, 플로이드 사망을 계기로 추진 중인 경찰 개혁법안의 조속한 의회 통과를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 : 메모리얼 데이가 지나고 나서 조만간 '조지 플로이드 법안'에 대한 합의에 이르길 희망합니다.] <br /> <br />일련의 흑인 사망 사건 때마다 불거지는 시위 물결이 정치적으로 변질되거나 상징적인 행동에 그치지 않고, 실질적인 해법 마련으로 이어질지에 관심이 모아집니다. <br /> <br />YTN 조수현[sj1029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52613190262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