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방미성과 공유' 靑오찬에서 여야 대표 '신경전' 팽팽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여야 5당 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가졌습니다.<br /><br />한미정상회담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였지만 여야는 각종 현안들을 언급하며 팽팽한 신경전을 벌였는데요.<br /><br />국회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듣겠습니다. 장윤희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청와대 초청 여야 대표 간담회는 오전 11시 30분부터 약 두시간 가량 진행됐습니다.<br /><br />문 대통령의 방미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였지만 코로나19 대응, 부동산 정책 논란, 인사 부실 검증 등 현안을 두고 여야 간 치열한 기 싸움이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국민의힘 김기현 당 대표 권한대행과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문 대통령을 향해 "미국에서 백신 스와프를 통한 백신 확보를 하지 못했다"고 포문을 열었습니다.<br /><br />안 대표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 위탁생산을 하기로 했지만 "우리가 더 노력해서 기술 이전까지 가야 한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김기현 권한대행은 국회에서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고 문 대통령에게 청와대 인사 주요 책임자에 대한 교체 요청, 탈원전 정책, 부동산 정책, 가상화폐 문제의 전반적 검토도 건의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는 이번 정상회담의 성과를 집중 조명하며 후속조치를 위해 국회도 힘을 모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"전시 작전권 전환 문제에 대해 "여전히 조건부로 회수한다고 표현이 돼 있다"라며 "우리 공간이 너무 축소돼 있다"고 아쉬움을 드러냈고, 정의당 여영국 대표-열린민주당 최강욱 대표도 동조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금 국회에서는 김오수 검찰총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열리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오후 상황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김오수 검찰총장 후보자 오후 인사청문회가 진행 중입니다.<br /><br />오전 청문회와 마찬가지로 김 후보자의 정치적 중립성 논란이 주요 쟁점입니다.<br /><br />국민의힘은 김 후보자를 '대표적인 친여(親與) 인사'라고 규정하며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여당 의원들은 김 후보자에게 의혹 해명 기회를 주며, 직무 검증에 집중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김 후보자는 정치적 편향 논란에 대해 "검사장 승진을 이전 정부에서 했다"고 일축하고, 야당 의원들이 제기하는 정치 편향성 논란에 조목조목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김 후보자는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불법 출국금지에 관여한 혐의로 기소된 이성윤 서울중앙지검장을 직무배제해야한다는 국민의힘 조수진 의원 질의에 "구체적으로 사건을 살펴보지 못했다"며 "취임하면 적절한 의견을 낼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김 후보자의 전관예우 논란도 인사청문회 쟁점이라면서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김 후보자가 법무부 차관 퇴임 후, 여권 인사 연루 의혹이 있는 옵티머스와 라임 관련 사건을 수임한 사실도 오후 청문회에서 쟁점으로 다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 후보자는 "라임이나 옵티머스를 운영하는 피의자들에 대해 일체 변론을 하거나 관여한 사실이 없다"고 거듭 부인했는데요.<br /><br />구체적으로 누구를 어떻게 변호했는지에 대해서는 의뢰인 비밀을 유지해야 하는 변호사법에 어긋난다며 답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국민의힘 장제원 의원은 김 후보자를 향해 "전관예우뿐 아니라 후관예우 논란이 있을 수 있다"며 "라임·옵티머스 관련 사건을 맡았다는 것 자체가 문제"라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김 후보자가 로펌에서 매월 2000만 원이 넘는 자문료를 받은 것에 대해서는 여야 의원 모두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더불어민주당 송기헌 의원은 "고액 수임료가 국민 눈높이에서 부적절하지만, 법조계에서는 이해할만하다"며 김 후보자가 전관예우를 받지 않게 노력했다고 엄호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김 후보자의 아들 취업 특혜 논란도 청문회 쟁점이었습니다.<br /><br />김 후보자는 아들이 입사지원 서류에 자신의 직업을 기재해 취업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에 부인하면서도, 아들의 처신이 적절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<br /><br />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(ego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