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충남 공주에 있는 공주보. <br><br>이번 정부 들어 금강 생태를 복원한다는 이유 등으로 3년 전 완전 개방했습니다. <br> <br>농업 용수가 부족해진 인근 농민들이 지하수를 끌어올려 쓰는데, 전기요금은 크게 늘었고, 물은 점점 바닥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주민들 이야기를 김태영 기자가 들어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논 사이에 농업용 우물이 있습니다. <br> <br>금강 생태복원 등을 이유로 지난 2018년 3월, 공주보를 완전 개방한 뒤 공주보에서 4km 상류에 있는 마을 주변에 새로 판 27개 농업용 우물 중 하나입니다. <br> <br>보 개방으로 강물 수위가 낮아져 농업용수가 부족해지자, <br> <br>전기로 작동하는 펌프로 지하수를 끌어올려 쓰는 겁니다. <br> <br>그런데 농민들은 이 우물이 '돈 먹는 하마'라고 지적합니다. <br> <br>지난해 말, 농민 장동인 씨 앞으로 날아온 전기요금 통지서입니다. <br><br>1년치 농업용 전기 요금이 20만 1610원입니다.<br><br>지난해 낸 전기요금의 6배가 넘는 수준입니다. <br> <br>[장동인 / 충남 공주시] <br>"(지난해 3만 원대였는데) 20만 원이 넘게 나오니 말이나 되는 얘기냐고." <br> <br>5천300㎡ 면적의 논과 고추밭에 댈 지하수를 쓰기 위해, 펌프 가동에 들어가는 전기량이 크게 늘어났습니다. <br> <br>[유민자 / 충남 공주시] <br>"전기세(요금)가 하도 많이 나와서 그 밑에 논은 다른 모터로 냇물 뿜어 올렸어요." <br> <br>농업용 전기는 누진제 적용 대상이 아니어서 일반 전기료에 비해서는 저렴한 편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지하수 양이 줄고 펌프 가동시간은 늘면서 농업용 전기료마저 부담이 되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"3천리터 들이 농업용수 보관통입니다. 공주보 개방으로 지하수량이 줄면서, 전에는 1시간이면 가득 채웠던 통을 이제는 30분 더 걸려야 채울 수 있습니다." <br> <br>[이용수 / 충남 공주시] <br>"(처음에 지하수 양이) 100이라고 보면 지금은 70~80 이 정도 본다고." <br> <br>농민들은 농사를 망칠까봐 근심입니다. <br> <br>[이봉선 / 충남 공주시] <br>"물이 있어야 농사를 짓는데 물이 달리다 보니까 진짜 농사짓기 힘들어요." <br> <br>민원이 빗발치자 환경부는 인력을 투입해 실태 조사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공주시도 한국전력에 전기요금 내역을 요청해, 농민 부담을 덜어줄 방안을 검토하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태영입니다. <br> <br>live@donga.com <br>영상취재: 박영래 <br>영상편집: 김문영