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방역 모범국이었던 대만도 백신 준비가 늦어 뒤늦게 코로나 홍역을 치르고 있죠.<br> <br>대만 총통이 중국이 화이자 백신 구입을 방해했다고 폭로했습니다. <br> <br>중국 백신도 들이지 않으면서 대만의 백신 외교에 대한 찬반 여론이 갈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베이징 사공성근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병실 복도와 병원 로비까지 환자들이 차지했습니다. <br> <br> 보름 전부터 세자릿수 확진자가 매일 쏟아지다보니 진단 검사도 긴 줄이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[정모 씨/ 타이베이 시민] <br>"하루에 250명 검사 가능한데, 그나마 350명으로 늘었어요. 그래도 검사 못 받는 사람들이 많고 화가 나죠. " <br> <br> 식당 영업은 금지되고 도심은 텅 비었습니다. <br> <br>방역에 나섰지만, 1%대 백신 접종률 탓에 감염 확산 차단에 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<br><br> 군인까지 자국 백신을 제공하겠다는 중국의 제안도 일단 거부했습니다. <br> <br>[천스중 / 대만 위생부 장관(어제)] <br>"중국이 맞지 않는 백신에 우리는 관심이 있습니다. 지금 중국이 맞고 있는 백신은 함부로 맞지 않겠습니다." <br><br> 차이잉원 대만 총리는 지난 2월 화이자를 공동개발한 독일 제약사와 계약을 앞뒀지만 중국의 개입이 있었다고 공개석상에서 비난했습니다.<br> <br> 낮은 접종률을 중국의 탓으로 돌린 겁니다. <br> <br> 중국은 즉각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[자오리젠 / 중국 외교부 대변인(어제)]<br>"대만은 본토에서 백신을 구할 수 있는 경로가 차단되지 않았습니다. 대만이 방역 외교로 독립을 추구한다면 사지로 내몰릴 수 있습니다." <br> <br>[사공성근 기자] <br>"대만에선 중국산 백신 공급을 놓고 찬반이 엇갈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 미국의 도움만 기다릴 수 없는 가운데, 대만 정부의 정치적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사공성근입니다." <br> <br>402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위보여우(VJ)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