노사 입장 팽팽한데…車업계 임금협상 본격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내 자동차업계가 상견례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임금협상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자동차업계는 지난해 코로나19에 이어 올해는 반도체 수급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죠.<br /><br />글로벌 수요가 살아나는 시점에 노사간 입장이 팽팽한 것으로 알려져 걱정이 앞서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국GM 노사가 상견례를 시작으로 임금협상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기본급 9만9천원 인상에 통상임금의 150% 성과급 지급 등 1인당 1천만원 인상안이 담겼습니다.<br /><br />여기다 부평공장에 신차 배정도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사측은 난색을 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3천억 영업손실이 발생하는 등 7년째 적자를 내고 있고, 최근에는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에 3만대 넘는 생산차질을 빚고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현대차 역시 올해 임단협을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월 9만9천원 기본급 인상에 지난해 당기 순이익의 30%를 성과급으로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노조측은 교섭을 서너달씩 하지 말고, 집중적으로 실시해 반도체 부품공급 문제를 비롯한 회사 미래를 고민하자고 제안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에 전기차와 로보틱스, 도심항공 등에 8조4천억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은 일방적이라고 반발하고 있어 교섭에 난항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 "별도요구안에 산업전환협약에 대한 내용과 단체협약에 이 내용이 있으니까 산업전환협약에 대해서 논의할 시점에 이 부분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으로"<br /><br />지난해 임단협도 마무리 짓지 못한 르노삼성의 경우, 노조측의 전면 파업에 대해 사측은 직장폐쇄로 맞서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글로벌 수요가 살아나는 상황이지만 반도체 부족 등으로 생산에 탄력이 붙지 못하는 가운데, 실적회복에 발목을 잡을 수 있는 노사간 갈등을 최소화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