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공무원들의 특공 관리가 얼마나 허술한지가 추가로 드러났는데요. <br> <br>행복청이 특공 관리를 하고 있는데, 누가 얼마나 받았는지 자료조차 없다고 합니다. <br> <br>야당이 국정조사를 하려고 해도 받을 자료가 없어서 하기 힘든 코미디같은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유빈 기자가 이어갑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10년 간 공무원들이 받은 특공 세대 물량은 약 2만 6천 세대. <br> <br>그런데 관리·감독하는 기관인 행복청은, 지난 10년 간 당첨된 공무원 명단을 갖고 있지 않았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특공 수혜 기관에게 당첨자에 대한 기록을 남기도록 지시하거나 권유한 적도 없었습니다. <br><br>행복청 관계자는, "당첨자에 대한 정보는 청약 업무 대행기관인 한국부동산원에서 관리하므로 행복청은 갖고 있지 않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또 특공에 대한 관리 감독 차원에서 '특공 확인서 발급 대장'을 운영하고 있으나, 이마저도 행복청이 나서서 하진 않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<br>행복청 관계자는, "특공 당첨이 된 이후의 절차에 대해선 각 기관장들이 관할한다"며, 우리가 해당 자료를 요청할 규정은 없다"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공무원 명단과 관련 기록 제출은 강제할 규정이 없는 만큼, 야당이 요구한 '관평원 불법 특공 의혹'에 대한 국정조사도 사실상 어렵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유빈입니다. <br> <br>eubini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이재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