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김영수 앵커 <br />■ 출연 : 백순영 /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코로나19 신규 환자가 이틀째 500명대를 기록하며 두 달 넘게 정체 국면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유흥시설을 고리로 집단감염이 잇따르고 인도 변이로 인한 지역감염 사례도 처음 확인되는 등 불안요인이 여전한데요. <br /> <br />전문가와 함께 현재 상황 분석해 보겠습니다.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나오셨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어제 하루 신규 확진자가 533명이 나왔습니다. 500에서 600명대에서 정체 국면이 길어지고 있는데 현재 발생 추세부터 진단해 주시죠. <br /> <br />[백순영] <br />이게 4월 하순만 해도 800여 명에 육박했었는데 일일 평균으로 보면 사실은 800명에 육박했을 때랑 지금이랑 크게 차이는 없습니다. 어찌 됐든 하향 안정 추세이긴 한데 좀 불안한 부분들도 많이 있죠. 지금 지역사회에 있어서 산발적인 집단감염이 계속되고 있고요. <br /> <br />전국적으로 감염재생산지수가 1을 넘고 있는 데다가 전파력이 강한 해외 변이주, 특히 인도 변이주 같은 것들도 지역사회에서 발견되고 있고 영국 변이주 같은 경우는 아마 이게 우세종으로 되는 게 얼마 안 남은 것으로 보여서 전파력이 훨씬 더 강할 것으로 보여서 이들이 아마 지역사회에 있어서 감염재생산지수를 더 높일것으로 보여서 지금의 이 추세가 안정적이라고 보고 안심할 만한 상황은 아니라고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변이 바이러스가 우세종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위험한 상황이다, 이렇게 말씀을 해 주셨는데요. 그런데 백신 접종이 다시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이게 당장 확산 추세에 어떤 영향을 주기에는 어려울까요? <br /> <br />[백순영] <br />아직까지는 좀. 지금 10%인데 어제, 그제 이틀 사이에 거의 110만 명 이상 1차 접종을 했기 때문에 하루에 1% 이상씩 높아지는 상황이거든요. 하지만 지금 상황에서 보면 이게 60대 이상의 고령자를 중점으로 해서 지금 접종을 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 확산세를 막기에는 역부족입니다. <br /> <br />오히려 젊은 층에서는 확산이 더 많이 나오는데 지금 고위험층인 고령자들을 우선접종하는 이유는 이분들이 예방이 되어야만 위중증 환자 사망자 수가 굉장히 많이 떨어지게 되고 우리는 관리 가능한 질병이라고 할 수 있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우선순위에 두는 것인데요.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52915084682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