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 오늘은 이번에 미국에서 지원받을 코로나 백신 종류가 결정됐다는 소식으로 시작하겠습니다. <br><br>바이든 대통령이 약속했던 55만 명분.<br><br>뚜껑을 열어보니 총 100만 명분으로 늘어났습니다. <br><br>종류는 화이자, 모더나, 얀센 가운데 ‘얀센’으로 정해졌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정부가 혈전 우려가 있다며 30대 이상으로 접종 대상을 제한하면서 정작 현역이 아닌 예비군과 민방위만 맞추게 됐습니다. <br> <br>먼저, 이현수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 (지난 21일)] <br>"우리는 55만 명의 한국군에게 완벽한 백신 접종을 제공할 것입니다." <br> <br>미국이 한국군에 줄 백신은 한 번만 접종해도 되는 얀센으로 결정됐습니다. <br> <br>화이자나 모더나는 아니지만 대신 물량은 애초 약속보다 두 배 많은 101만 2800회 분으로 늘었습니다. <br> <br>공군은 오는 2일 공중급유기 '시그너스'를 투입해 이번 주중 미국에서 백신을 가져옵니다. <br> <br>방역 당국은 1일부터 온라인 예약을 받고 10일부터 20일까지 접종할 계획입니다. <br><br>그런데 우리 정부는 현역 장병이 아닌 30세 이상 예비군과 민방위 대원, 군 관련 종사자만 접종하기로 결정했습니다. <br> <br>얀센도 아스트라제네카와 같은 종류의 백신으로 혈전 발생 우려가 있다는 게 그 이유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미국은 나이 제한 없이 얀센 접종을 하고 있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정은경 / 질병관리청장] <br>"(미국은) 4월 23일부터는 얀센 백신에 대해서 주한미군을 포함해서도 연령 제한 없이 이미 접종을 시행하고 있는 그런 상황입니다." <br> <br>정부는 30세 미만 현역 장병 41만4천 명에 대해선 기존 계획대로 화이자 백신으로 6월 중 접종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언제 얼마나 화이자 백신이 들어올지는 밝히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또 정부는 얀센의 경우 배우자를 포함해 군인 가족도 선착순으로 접종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동맹 차원에서 백신을 한국군과 공여하겠다는 미국의 취지와 맞는지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현수입니다. <br>soon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한일웅 <br>영상편집 : 손진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