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령어업 주범 침적쓰레기…"어민들 직접 수거하자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해양쓰레기 중에 가장 골치 아픈 것이 바다 깊숙이 가라앉아있는 침적쓰레기인데요.<br /><br />버려진 그물에 고기가 걸려, 환경과 생태계 파괴를 불러오는 '유령어업'을 야기하는 주범입니다.<br /><br />어민들 스스로 침적쓰레기를 수거하자는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고휘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커튼이 올라가자, 바닥에 쌓여 있는 쓰레기들이 눈에 들어옵니다.<br /><br />지난 주말, 제주 이어도 인근 해역에서 건져 올린 침적쓰레기들입니다.<br /><br />침적쓰레기는 이렇게 폐어구와 폐그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틀 동안 수거한 양이 100여 톤에 이릅니다.<br /><br />침적쓰레기는 해양쓰레기 중 하나로, 바다 깊은 곳에 있기 때문에 수거하는데 장비와 인력이 많이 투입됩니다.<br /><br />상당수 어민이 바다에 그물을 그대로 버리고 오기 때문에 발생합니다.<br /><br /> "유실되는 부분도 있겠지만, 배에 담을 수 있는 공간이 없습니다. 그러다 보니까 그냥 버리고 오는 겁니다."<br /><br />최근 들어 어민들의 의식 수준이 높아져 바다에 버리는 경우가 많지 않지만, 기존에 버려진 그물이 우리나라 주변에만 11만 톤 정도가 있는 것으로 추산됩니다.<br /><br />먼바다의 경우는 가늠조차 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해양폐기물 정책은 많은 지자체와 공단에서 시행하지만 정작 먼바다, 근해의 경우 매장량 조사조차도 없이 그대로 방치되고 있는 현실입니다."<br /><br />침적쓰레기로 인한 피해액은 연간 4천억 원이 넘는 것으로 집계됩니다.<br /><br />한국해양환경공단과 지자체 등이 수거 사업을 벌이고 있지만, 항만과 어항 등 특정 해역에만 국한돼 있어 대부분의 연근해어장은 개선되고 있지 않다는 게 어업인들의 주장입니다.<br /><br />상황이 이러해지자, 어민 스스로 수거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침적쓰레기는 어업인들이 더 잘 알고 있습니다. 침적쓰레기를 우리 어업인들이 직접 수거할 수 있도록 정부 예산을 배정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."<br /><br />수협중앙회는 권역별 수거 활동을 벌이는 한편 정부예산 확보와 지자체 참여를 계속해서 촉구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고휘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