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혈소판 감소성 혈전증' 국내 첫 발생..."AZ 백신 맞은 30대" / YTN

2021-05-31 2 Dailymotion

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부작용인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이 국내에서 처음 보고됐습니다. <br /> <br />취약시설에 종사하는 30대 초반 남성인데, 입원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형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혈소판 감소를 동반하는 희귀 혈전증 사례가 국내에서 처음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30대 초반의 취약 시설 종사자로, 4월 27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접종 뒤 심한 두통이 이어졌고, 경련까지 나타나 검사받은 결과, 뇌정맥동혈전증 진단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20대 구급대원이 같은 진단을 받긴 했지만, 혈소판 감소는 나타나지 않아 아스트라제네카 부작용에 부합하는 건 이번 사례가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[정은경 / 질병관리청장 : 이번 환자는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으로 확정할 수 있습니다.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은 327만 명에 대한 접종이 진행되었고, 한 명의 부작용이 확인된 사례이며….] <br /> <br />상태는 호전됐지만 여전히 입원해 치료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영준 / 예방접종추진단 이상반응조사지원팀장 : (지침에 따라) 해당 의료진은 초기에 (혈소판 감소 동반 혈전증) 의심했었을 때 헤파린 사용하지 않고 항응고제를 치료해서 지금 상태가 호전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런 부작용은 아스트라제네카나 얀센처럼 '바이러스 벡터' 방식의 백신을 맞은 젊은 층에서 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30살 미만에 접종을 권고하지 않은 이유인데, 30대 사례가 나오면서 나이 제한 문제를 다시 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정기석 /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: 딱 30살을 기준으로 한 거에 대해서는 완전히 동의는 못 합니다. (득실을 따진) 계산에 들어간 여러 지표를 지금은 다시 한 번 더 평가해야 합니다. 60살 밑으로는 다 mRNA (백신 검토를)….] <br /> <br />정부는 희귀혈전증은 굉장히 드물다며, 기존 30살 미만 접종 제한 변경은 검토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30살 이상 예비군 등에는 얀센을, 30살 미만 군 장병은 화이자 백신을 계획대로 접종하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다만, 미국이나 이스라엘에서 화이자 등 mRNA 백신을 접종한 젊은 남성을 중심으로 심근염 사례가 잇따르는 건 부담입니다. <br /> <br />방역 당국은 심근염과 mRNA 백신 사이 연관성을 조사 중인 만큼, 해외 동향과 접종 진행 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형원[lhw90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53118091513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