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국내 첫 '혈소판 감소성 혈전증' 사례 확인...AZ백신 접종 30대 남성 / YTN

2021-05-31 4 Dailymotion

아스트라제네카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부작용으로 꼽히는 '혈소판 감소성 혈전증' 사례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장애인 시설 등 취약시설에 근무하는 30대 초반의 남성이 지난달 27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았으며 이후 이달 9일 오전 심한 두통과 경련이 나타났으며 의료진은 뇌정맥혈전증과 뇌출혈, 뇌전증 진단을 내렸다고 밝혔습니다 <br /> <br />의료진이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대응지침을 참고해 초기에 항응고제를 사용해 치료한 결과 환자 상태는 호전됐고, 현재는 건강 상태에 큰 문제가 없다고 추진단은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해당 의료기관에서는 지난달 27일 이 사례를 '접종 후 이상반응'으로 신고했으며, 혈액응고장애자문단은 전날 회의를 열어 이 사례가 임상적으로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의 정의에 부합한다고 판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추진단은 이 환자에 대해서는 신속히 피해 보상을 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추진단은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은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회복이 가능한 질환이므로, 예방접종 뒤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 진료를 받아 달라고 권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각에서는 '30세 미만'으로 제한하고 있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연령을 상향 조정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 단장은 관련 질의에 "아스트라제네카나 얀센 백신의 연령 기준을 정할 때 이 희귀 혈전증에 대한 발생 빈도를 100만 명당 3.5건 정도 발생하는 것을 가정했다"면서 이 발생 빈도는 크게 변동되지 않았기에 아직 조정할 단계는 아니라고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는 다만 "접종이 진행되면서 이상반응 부작용에 대한 보고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발생 빈도나 위험도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해 필요 시 접종기준에 대한 부분을 조정할 지 여부를 계속 검토하고 있다"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동우 [dwlee@ytn.co.kr]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53117293429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