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선진국들 보며 부러워했던 우주개발, 우리나라도 중요한 첫 발을 뗐습니다. <br> <br>우주 공간에 인공위성이나 탐사선을 보내기 위해 쏘는 로켓이 발사체인데요. <br> <br>기획부터, 설계 제작까지, 전 과정을 국내 기술로 개발한 첫 발사체, 누리호가 오늘 첫 모습을 드러냈습니다. <br> <br>10월 발사에 성공하면 우주 발사체를 보유한 세계 7번째 국가가 됩니다. <br> <br>황규락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특수 차량에 실린 발사체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냅니다. <br> <br>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한 첫 한국형 발사체 '누리호'입니다. <br> <br>[황규락 기자] <br>"누리호는 미세한 충격에도 전자 장비가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제가 걷는 속도 정도인 시속 1km 정도로 천천히 이동하고 있습니다." <br><br>발사대에 도착한 뒤 세 개의 피뢰침 사이로 누리호가 조심스레 세워집니다. <br><br>누리호는 총 3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<br> <br>대기권 돌파에 사용되는 1단 로켓은 75톤 엔진 4개를 엮어 만들었고 2단과 3단 로켓 위로 1.5톤 무게의 인공위성이 실립니다. <br><br>[고정환 /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] <br>"앞으로 저희가 발사 준비를 완료해서 발사까지 성공하게 되면 발사체 개발 전 과정을 우리 손으로 확보하게 되겠다는 의미가…" <br> <br>지난 2013년 나로호 발사 때는 러시아에서 만든 1단 발사체를 빌려 썼지만 이번엔 100% 우리 기술로 쏘아 올리는 겁니다. <br> <br>앞으로 연료 주입 시험 등을 거친 뒤 오는 10월 1.5톤 더미 위성을 싣고 우주로 향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발사에 성공하면 세계 7번째 우주 발사체 보유국이 됩니다. <br> <br>그동안 족쇄였던 한미 미사일 지침도 최근 종료된 만큼 앞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에도 관련 기술의 활용이 가능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규락입니다. <br> <br>rocku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박희현 이영재 <br>영상편집 : 방성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