뉴욕 지하철도 해킹…美에 중·러 사이버 공격 잇따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달 미국 최대 송유관 운영사와 세계 최대 정육업체가 러시아와 연계된 범죄단체로부터 해킹을 당했는데요.<br /><br />앞서 4월엔 뉴욕 지하철 전산 시스템이 중국 해커의 공격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김영만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국 주요 시설을 노린 사이버 공격이 잇따르는 가운데 이번엔 뉴욕 지하철 시스템이 중국 해커에 뚫렸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뉴욕타임스(NYT)에 따르면 중국 정부와 연계된 것으로 추정되는 해커들이 지난 4월 뉴욕 메트로폴리탄 교통국 MTA 전산 시스템에 침입했습니다.<br /><br />매일 수백만 명이 이용하는 교통 체계의 보안 취약성이 노출된 겁니다.<br /><br />당시 해커들이 열차 통제 시스템에까지 접근하진 않아 승객 안전이 위협받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이번 해킹은 최근 몇 년 사이 외국 정부와 연계된 해커들이 MTA를 공격한 세 번째 사례이자 가장 심각한 것으로 미 당국은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30일 해킹당한 세계 최대 정육업체 JBS의 전산망은 대부분 복구돼 정상화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랜섬웨어 공격으로 가동이 중단됐던 미국과 호주 육류처리 공장들이 재가동에 들어갔거나, 곧 생산을 재개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미국 연방수사국 FBI는 JBS 전산망 해킹은 러시아와 연계된 범죄조직 '레빌'과 '소디노키비'의 소행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지난달 7일 미국 최대 송유관 운영사 '콜로니얼 파이프라인'에 사이버 공격을 가한 해커단체 '다크사이드'도 러시아에 기반을 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러시아와 연계된 해킹이 잇따르자, 오는 16일 예정된 미·러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 "이 문제(해킹)는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정상회담에서 논의할 현안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 미 정부는 러시아와 직접 접촉해 이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습니다."<br /><br />미국 기간 시설과 산업 시설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는, 중국에 이어 러시아와 연계된 해킹에 미국이 어떻게 대응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영만입니다. (ymkim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