심각한 학력저하 현상…"코로나 핑계만 대나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가 얼마 전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원격수업 등으로 학생들의 학습 능력이 떨어졌다고 통계를 인용해 공식 발표했죠.<br /><br />하지만 수년째 이어지고 있는 심각한 학력 저하 현상을 코로나 탓으로만 보기는 어렵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정인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코로나를 거치며 학생들은 학습 능력이 전년보다 떨어진 것으로 정부 차원의 조사에서 처음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 "중학교, 고등학교 국·영·수 모든 과목에서 기초학력 미달인 1수준의 비율이 전반적으로 증가했고…"<br /><br />그런데 코로나 이전인 2018년부터 중학교 3학년의 국·영·수 '보통 학력 이상' 비율은 세 과목 모두 전년 대비 떨어졌고, 이는 원격수업이 이뤄진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고등학교 2학년 수학의 경우 '보통 학력 이상' 비율이 2018년부터 하락하기 시작했고, 오히려 지난해에는 낙폭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이는 코로나만을 학력 저하의 원인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올 수밖에 없는 대목으로, 교육계 일각에선 벌써부터 정책 전반을 점검하라는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자유학년제라고 해서 중학교 1학년 때까지 시험이 없어요. 학생들 간 줄 세운다고 해서 평가를 거부하고 소홀히 하거든요. 학습량 줄이는 걸 늘 추진해서…"<br /><br />교육당국은 지난 2017년부터 전수조사가 아닌, 전국 중3, 고2의 3%만을 표집해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고 있는데, 이 같은 평가방식을 학력 저하의 또 다른 원인으로 꼽는 시선도 존재합니다.<br /><br /> "과거와 같이 전수조사로 되돌리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해야…학생들의 수준이라든지 부족한 부분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공부할 수 있는 동기도 부여하는…<br /><br />교육부는 표집 대상 이외 학교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대책을 내놨지만, 세부적인 학습 결손을 파악하는 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인용입니다. (quotejeong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