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 동부 지역에 최근 17년 주기로 나타나는 '브루드 X'라는 이름의 매미떼가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최대 수백억 마리로 추정되는데 매미를 이용한 요리와 과자류가 인기를 얻자 미 보건당국은 해산물 알레르기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며 섭취에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김정회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풀숲에도, 나무에도, 꽃잎에도 다닥다닥 매미들이 붙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주택가 도로는 탈피한 매미 껍질 천지입니다. <br /> <br />[알렉산드라 로즈 : 너무 무서워요. 다섯 살 때부터 마당의 벌레를 좋아한 적은 한 번도 없었어요.] <br /> <br />미국 동부 지역이 때아닌 매미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수십억 마리에서 최대 수백억 마리로 추정되는데 전문가들은 조만간 18개 주로 확산할 것으로 전망합니다. <br /> <br />이 매미들은 '브루드 X'라는 종류입니다. <br /> <br />일반 매미와 달리 검은 몸에 붉은 눈, 주황색 날개를 가졌습니다. <br /> <br />땅속에 낳은 알에서 깨어나 나무뿌리 수액 등을 먹으며 크는 애벌레 기간이 무려 17년이나 됩니다. <br /> <br />대개 5월 셋째 주쯤 땅 위로 올라오는데 한번에 수백만 마리씩 올라와 곳곳을 뒤덮습니다. <br /> <br />2004년에도 워싱턴을 비롯해 뉴저지주, 테네시주 등에 브루드 X 매미 떼가 대거 나타난 바 있는데 올해는 특히 개체 수가 많습니다. <br /> <br />[마이클 라우프 / 메릴랜드대 곤충학부 교수 : 17년째 되는 해에, 보통 밤에 나무줄기나 수직 구조물에 올라가 붙습니다. 이후 탈피 과정을 거쳐 성체 매미가 나옵니다.] <br /> <br />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일부 식당은 이 매미를 곁들인 초밥을 내놓고 핫 소스 회사 '레드 핫'은 매미를 재료로 한 요리법을 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독성이 없고 저지방에 단백질 함량이 높다는 점에서 쿠키와 초콜릿으로도 만들어져 인기입니다. <br /> <br />섭취 인구가 늘자 미국 FDA는 서둘러 주의 당부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곤충과 갑각류 모두 절지동물에 속하기 때문에 새우나 랍스터 등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매미를 먹을 경우 비슷한 알레르기가 나타날 수 있다며 섭취하지 말 것을 권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정회[jungh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60601250732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