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코로나 19 때문에 손실을 입은 업체들이 많죠.<br> <br>그렇지만 정부여당은 일단 지나간 피해는 보상하지 않기로 했습니다.<br> <br>대신에 민주당은 재난지원금을 재차 푸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데 이마저도 어떤 방식으로 줄지 정부와 협의가 쉽지 않습니다.<br> <br>김철웅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방역조치에 따른 영업피해 보상은 과거 발생한 손실이 아니라, 법 시행 이후 손실부터 적용됩니다. <br><br>민주당은 이달 중 처리할 손실보상법에서 소급적용 부분을 삭제하고, 부칙에 "과거 피해에 대해선 종합지원대책을 마련한다"는 문구를 추가하기로 잠정 결론 내렸습니다. <br><br>야당과 소상공인 단체의 강한 반발이 예상되지만, 과거 피해는 이 정도로 마무리 짓고 향후 지원책에 더 힘을 싣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실제로 민주당은 8월 여름 휴가철에 맞춰 전 국민 재난지원금과 선별지원금 지급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송영길 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지난 4일)] <br>"전 국민 재난지원금과 실질적 손실보상제 마련 등 시급히 추진해야 할 사항들이 많습니다. 과감한 재정정책을 통해 민생을 회복시켜야 할 시점이라 생각합니다.” <br> <br>정부 역시 올해 세금이 약 32조 원 더 걷힐 것으로 보고 20조~30조 원 규모 2차 추경 편성과 함께 다양한 지원책을 검토 중입니다. <br> <br>다만 지급 대상과 범위에 대해선 민주당과 생각이 다릅니다. <br> <br>정부는 한정된 예산을 고려해 전 국민 재난지원금 대상에서 소득 상위 일부, 부자는 제외하자는 생각입니다. <br> <br>[홍남기 / 경제부총리 (지난 4일)] <br>"소상공인 등 코로나 위기에 따른 취약 및 피해계층 지원대책 등이 그 중심이 될 것입니다." <br> <br>이번에도 당정 갈등이 재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. <br> <br>일각에서 8월 재난지원금 지급이 늦어질 수 있단 우려도 나오지만, 홍 부총리가 매번 뜻을 꺾고 여당에 끌려갔던 만큼 이번에도 다르지 않을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철웅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