단기부실 기업 급증…대기업 역대급 실적에 양극화 심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충격으로 조선·항공 등 관련 소규모 제조업을 중심으로 단기 부실 위험에 빠진 기업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일부 대기업들은 역대급 실적을 올리고 있는 것과 대조적인데요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 영향으로 한 해 번 돈으로 대출 이자도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이 크게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이자보상배율이 100% 미만인 한계기업 비율은 34.5%로 전년보다 약 4%포인트 늘어 2013년 집계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.<br /><br />제조업 상장기업으로 보면 새로 한계기업이 된 경우가 211곳으로 직전 5년간 연평균 155개 대비 크게 늘었습니다.<br /><br />한계기업은 조선·항공 등에서 집중적으로 관찰됐고, 소규모의 오래된 기업일 수록 한계기업 가능성이 높았습니다.<br /><br />의약품제조업과 섬유제조업도 한계기업 비중이 20% 안팎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반면 반도체·가전 대기업을 중심으론 오히려 빠른 회복으로 영업이익이 늘어나 양극화는 심화된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올해 1분기 9.4조원 영업이익을 올린 삼성전자는 최근 메모리 반도체 가격 상승 등으로 2분기엔 11조 원대 이익까지 내다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LG전자도 TV와 생활가전 매출 호조로 올해 상반기 '매출 30조원·영업이익 3조원' 달성이 전망되고, 현대차도 지난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90% 넘게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 "코로나 때문에 일시적으로 한계기업이 많이 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본다면…최근에 한계기업에 빠졌던 기업들은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지 않은가…"<br /><br />코로나 이전부터 한계 상황에 처해 있어 시장의 구조조정이 필요한 영역이 아닐 경우, 최근 회복하고 있는 경기가 반영될 때까지 산업 특성에 따른 금융지원 등 차별화된 운용이 필요하단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