흔들리는 아시아 허브 홍콩…다국적 기업 이탈 가속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홍콩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들이 줄줄이 이탈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홍콩의 정치적 불안과 중국의 영향력 확대가 주요 이유인데요.<br /><br />아시아 금융 허브로서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홍콩에서 윤고은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홍콩의 정치적 불안이 커지면서 다국적 기업들의 이탈이 현실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월스트리트저널은 홍콩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들과 고급 인력들이 경쟁도시인 싱가포르와 상하이로 빠져나가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달 홍콩 주재 미국상공회의소 조사 결과, 응답자 300여 명 가운데 42%가 홍콩 국가보안법에 대한 우려와 앞날의 비관적 전망 등을 이유로 이주를 계획하거나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.<br /><br />2019년 이후 홍콩에 두고 있던 지역 본부나 사무소를 이전한 기업이 수십 개에 달하며, 사무실 공실률이 15년 만에 최고치를 나타낸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팀버랜드와 노스페이스 같은 브랜드를 보유한 VF 코프는 지난 1월 25년째 이어온 900명 규모의 홍콩사무소를 폐쇄한다고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일본 소니 인터액티브 엔터테인먼트와 루이뷔통 모에헤네시(LVMH), 로레알 등은 홍콩사무실 직원 일부를 싱가포르 등지로 이전 배치했습니다.<br /><br />네이버는 홍콩보안법 발효 이후 데이터를 백업하는 국가를 홍콩에서 싱가포르로 바꿨으며, 페이스북과 구글은 미국과 홍콩을 해저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하려던 계획을 취소했습니다.<br /><br />다국적 기업들이 떠난 자리는 일단 중국기업들이 메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6월 3일 이전 1년 동안 홍콩에 지역본부를 신설한 중국기업은 63개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월스트리트저널은 2019년 격렬했던 범죄인 송환법 반대 시위와 지난해 발효된 홍콩보안법이 불러온 정치적 불안이 '아시아의 국제도시' 홍콩의 위상을 흔들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홍콩에서 연합뉴스 윤고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