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 TOP10 (17:30~19:00)<br>■ 방송일 : 2021년 6월 8일 (화요일)<br>■ 진행 : 김종석 앵커<br>■ 출연 : 서정욱 변호사, 소종섭 전 시사저널 편집국장, 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, 최진봉 성공회대 교수<br><br>[김종석 앵커]<br>국민의힘 입당, 시간문제처럼 보이더니 측근들 얘기를 들어보면 잠깐 거리를 두는 것 같기도 하고요. 그런데 이현종 위원님. 본격적인 정치활동이 임박했고 공보 담당자 주변에서 많은 추천을 받았는데 아직 고민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. 언론 창고를 마련하겠다는 얘기 같은데 최근 본인의 뜻이 와전되거나곡해되는 거. 이 부분에 대해서 윤 전 총장이 꽤 우려를 하고 있는 겁니까?<br><br>[이현종 문화일보 논설위원]<br>그러니까 전문가들을 만날 때는 메시지가 크게 왜곡되지 않습니다. 노동 전문가, 남북관계 전문가. 이런 분들을 만날 때는 가급 정확한 얘기들이 나오고 있는 거죠. 그런데 유독 정치인들을 만나니까 문제가 생겨버립니다. 왜 그러냐면 정치는요. 이야기를 듣고 자기 나름대로 해석을 해서 자기 이야기를 해버립니다. 그러다 보면 그게 윤 전 총장은 ‘어’라고 이야기했는데 정치인들은 ‘아’라고 전달할 수 있는 거거든요. 바로 그런 현상들이 정치인들을 잇따라 만나면서 나타나고 있는 거죠. 그러다 보니까 얼마 전 정진석 의원 만날 때도 보면 장모와 관련돼서 10원짜리 한 장 준 적, 받은 적 없다. <br><br>이런 피해를 준 적이 없다. 이런 이야기가 나오면서 상당히 윤 전 총장의 뜻과는 왜곡되게 발언이 소개됐고. 지금 이제 권성동 의원 같은 경우도 보면 본인이 들어오겠다는 뜻이 자기가 생각한 걸 윤석열 전 총장 이야기처럼 이야기를 해버린 거예요. 그러다 보니까 바로 입당할 것처럼 이렇게 이야기되는 게 이게 윤 전 총장의 위상이나 중요도가 높아져 가는데 문제는 그걸 중간에서 메시지를 정밀화해서 전달해줘야 되는데. 그런 사람이 없다 보니까 정치인의 이야기가 곧 윤 전 총장의 이야기처럼 해석되어 버리는 거 아니겠습니까. 그게 최근 일주일 동안 나타난 일련의 문제였거든요. <br><br>그러다 보니까 김종인 전 위원장도 국민의힘 들어간 줄 아니까 굉장히 쓴소리하고 안 좋은 얘기해버리고. 이러니까 윤 전 총장 쪽에서는 안되겠다 싶어서 이철우 교수를 인터뷰를 해서. 이철우 교수 같은 경우는 윤 전 총장의 초등학교 때부터 친구니까. 이 분이 언론 인터뷰를 해서 국민의힘 지금 입당한 게 결정된 거 아니다. 이렇게 지금 이야기를 해버린 상황이에요. 그러니 이제 이게 메시지가 계속 혼선된다. 그런데 뭔가 대선 후보 정도 되면요. 중간에서 누가 메시지를 정리해야 됩니다. 그렇지 않으면 3시간 얘기를 하는데 그 이야기 중에서 원하는 것만 짜깁기해서 이야기를 하면 전혀 반대의 뜻으로 해석될 수가 있는 거거든요. 그래서 이제 공보담당자들을 빨리 임명하겠다고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. <br><br>그건 아마 빠르면 이번 주, 아니면 다음 주의 임명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는데 일단 윤 전 총장 입장에서도 조금 템포를 조정할 필요는 있다. 왜냐하면 그동안 이제 제3지대 이야기를 하다가 국민의힘 쪽으로 확 쏠아버렸잖아요. 그랬더니 제3지대를 바라던 사람들이 이거 왜 이러지. 대표적으로 김종인 전 위원장입니다. 그러니까 여러 가지 쓴소리들을 매일 하고 있지 않습니까. 그러니까 자칫하면 이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해서 이철우 교수가 나서서 뭔가 메시지나 상황 자체를 조절하는 그런 상황인 것 같습니다. 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정우식 인턴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