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8개월 만에 대면 다자외교 재개…선도국가 자리매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의 주요 7개국, G7 정상회의 참석은 본격적인 대면 다자외교 재개를 알리는 신호탄입니다.<br /><br />문 대통령은 이번 회의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변화하는 국제질서 속 선도국가로서의 확실한 자리매김의 기회로 삼겠다는 계획인데요.<br /><br />임혜준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문 대통령의 대면 다자외교 무대 재입성은 18개월 만입니다.<br /><br />2019년 12월 중국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의를 끝으로 전 세계적인 코로나 팬데믹 속 대면 회담은 줄줄이 미뤄졌습니다.<br /><br />문 대통령은 이번 회의를 국제사회에서 높아진 우리 위상을 확실히 각인시키는 계기로 삼겠다는 구상입니다.<br /><br /> "국제사회에서의 책임과 역할도 더욱 커졌습니다. G7 정상회의를 글로벌 현안 해결에 기여하는 우리의 역할을 강화하고 외교의 지평을 확대하는 계기로 삼겠습니다."<br /><br />무엇보다 국가 간 방역과 경제 협력 강화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선도 국가로의 자리매김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를 위해 글로벌 백신 허브국으로서의 지위와 개도국과 선도국을 잇는 가교 국가의 역할을 강조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 "글로벌 백신 허브의 역할을 강조하고 기후위기 대응에서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협력을 이끄는 가교 국가로서의 역할을 부각시킬 것입니다."<br /><br />강제징용 문제와 독도 표기 논란 등으로 틀어진 한일 양국 관계 개선의 모멘텀을 만들지도 관심입니다.<br /><br />두 나라 모두 관계 개선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데다 다음 달 도쿄 올림픽을 앞두고 두 정상이 분위기 전환에 앞장설 수도 있다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. (junelim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