천 가림막뿐인 공사현장…곳곳에서 '불안' 호소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에도 허술한 안전관리가 광주 붕괴 참사를 일으켰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부실한 천 가림막은 광주에서 철거 건물이 붕괴됐을 때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했는데요.<br /><br />서울 곳곳의 공사현장들도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윤상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골격이 드러난 건물을 천 가림막이 둘러싸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가림막 일부는 찢어진 채 바람에 휘날립니다.<br /><br />사람들은 발걸음을 재촉합니다.<br /><br />지금은 작업이 중단된 철거 현장입니다.<br /><br />인도 양쪽을 공사장이 에워싸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지나가는 시민들을 보호할 안전장치는 천으로 된 가림막뿐입니다.<br /><br />철거 중 건물이 붕괴돼서 노동자가 사망했던 곳인데, 그 이후 현장은 그대로 방치돼있습니다.<br /><br />안전사고에 대한 걱정은 여전합니다.<br /><br /> "높은 건물 밑으로 다니기 때문에 항상 마음이 편칠 않고…좁은 골목이고 항상 사고라는 건 말 없을 때 나고 하는 것이기 때문에…"<br /><br />다른 곳도 상황은 비슷합니다.<br /><br />버스 정류장 바로 앞이 철거 현장이지만, 역시 천 가림막뿐입니다.<br /><br />본래 천 가림막은 공사 현장을 가리거나 먼지가 날리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됩니다.<br /><br />가림막 설치는 의무화 돼있지만, 가림막의 종류에 대해서는 별도 규정이 없습니다.<br /><br />철제 펜스 대신 저렴한 천 가림막을 쓰는 일이 많은 이유입니다.<br /><br /> "전혀 역할을 못합니다. 안전하고는 별개죠. 위험한 구간이나 철거 현장 주변, 특히 정거장 같은 경우에는 안전펜스를 설치하도록…"<br /><br />전문가들은 당장 법을 고치기 어렵다면, 공사 현장에 인접한 버스 정류장이나 횡단보도를 옮기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윤상훈입니다. (sanghun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