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7 기간 한일 정상회담 불발…짧은 인사가 전부 <br />문 대통령 "스가 총리 대면…회담 못 해 아쉬워" <br />한일 약식회담 잠정 합의…일본이 일방적 취소 <br />정례 독도훈련 이유로 정상회담 거부 ’부적절’<br /><br /> <br />G7 정상회의 기간 한일 양국이 약식 정상회담에 잠정 합의했지만 일본이 일방적으로 취소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군이 실시하는 독도 방어훈련을 이유로 들었는데, 매년 진행되는 정례 훈련을 명분으로 정상 외교를 거부하는 것은 비우호적 행동이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도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박 3일간 계속된 주요 7개국, G7 정상회의 기간 한일 정상회담은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문재인 대통령이 만찬장 등에서 스가 일본 총리에게 다가가 짧은 인사를 나눈 게 전부였습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한일 관계의 새로운 시작이 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지만 회담으로 이어지지 못했다고 아쉬움을 나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한일 양국은 원래 약식 정상회담 개최에 잠정 합의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외교부 당국자는 실무 차원에서 한일 약식 회담에 잠정 합의했지만, 일본 측이 우리의 동해 영토 수호훈련을 이유로 결국 응하지 않았다며 유감을 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매년 두 차례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독도 방어훈련을 이미 잠정 합의한 회담의 취소 사유로 거론한 건 적절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이원덕 / 국민대 일본학과 교수 : 독도 때문에 이 문제를, 정상회담을 못 한다면 앞으로도 영원히 못 하는 거죠. 핑계나 명분에 불과하다고 봐요. 일본 국민에게 설명하기에는 그나마 도움이 될는지 몰라도, 객관적으로 볼 때는 전혀 설득력이 없는 설명이죠.] <br /> <br />스가 총리는 강제징용, 위안부 피해 배상 문제에 대해 한국이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며, 국가 간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고 있는 상태라고 거듭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 피해자들의 배상 요구는 2015년 위안부 합의와 1965년 청구권 협정 위반이라는 인식을 재확인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 정부는 역사 문제와 별개로 한일 협력을 계속 추진하자는 '투 트랙' 접근을 촉구하고 있지만 호응이 없습니다. <br /> <br />스가 총리는 지지율 하락으로 곤란을 겪고 있고, 문 대통령도 임기 말에 접어든 만큼 한일관계 개선의 동력을 찾기는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YTN 김도원[dohw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61416205268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