잇단 백신 오접종 사례…"방지 대책 마련할 것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코로나19 백신의 오접종 사례가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량보다 많거나 적은 양을 투여하는 일이 있는가 하면 얀센 백신 예약자에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놓는 경우도 있었는데요.<br /><br />당국은 의료계와 협력해 오접종 최소화 방안을 마련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나경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50대 예비군 여성인 A씨는 지난 11일 한 번만 맞아도 되는 얀센 백신을 접종하기 위해 경남 진주의 한 의료기관을 찾았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의료진들의 실수로 A씨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받았습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백신 오접종 사례는 지금까지 모두 105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위와 같은 경우를 포함해 20대에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하는 등 접종 대상자를 잘못 파악한 경우가 90건으로 대부분이었습니다.<br /><br />전북 부안에선 5명분인 얀센 백신 한 병을 한 사람에게 모두 투여하는 사례가 있었는데, 이런 경우는 5건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대부분 의료기관의 부주의로 발생한 건데, 문제는 하반기부터 백신 종류와 접종 대상이 늘어나면서 의료기관의 실수가 더 많아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방역 당국은 지자체와 함께 위탁의료기관에 대한 현장 점검과 접종 교육 등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또, 의료계와 오접종 방지 대책을 마련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 "오접종에 대한 유형을 분석하고 재발 방지대책을 마련하고, 또 사례가 발생할 경우에는 민관합동조사 등을 시행하는…"<br /><br />특히 재발 우려가 있거나 접종 위탁 지속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의료기관과의 위탁 계약은 해지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방역 당국은 오접종 이후 이상 반응이 생길 경우 국가가 먼저 보상한 뒤 의료기관에 구상권을 청구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