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보기 드문 광경이 펼쳐진 건강보험공단으로 가보겠습니다. <br> <br>통상, 이런 단식 농성은 노조의 투쟁방식이죠. <br> <br>그런데 사진 속 이 사람 이사장입니다. <br> <br>직접 고용을 요구하는 고객센터 근로자들과 이를 반대하는 정규직 노조가 노노 갈등을 빚자, 노조끼리 화해하라며, 이사장이 <br>무기한 단식농성에 돌입한 겁니다. <br> <br>강경모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김용익 건강보험공단 이사장이 건물 복도에 테이블을 펴고 앉아 있습니다. <br> <br>고객센터 근로자 고용 문제를 대화로 풀자며 이틀째 단식을 하고 있는 겁니다. <br><br>지난 2018년 취임한 김 이사장은 문재인 대통령 대선캠프 본부장 출신으로, '문재인 케어'로 불리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 설계자입니다. <br> <br>[김용익 / 국민건강보험공단 이사장] <br>"이렇게 가다간 대화를 할 수 없는 그런 파국으로 갈 수밖에 없겠다. 아무리 대화를 종용해도 되질 않아서…" <br><br>고객센터는 현재 민간 위탁 방식으로 운영되며, 1630명의 근로자가 있습니다. <br> <br>이중 노조에 가입된 인원은 970여 명. <br> <br>노조는 공공기관 비정규직 제로 정책에 따라 공단이 직접 고용해야 한다며 지난 2월에 이어 이달에도 파업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정규직 노조는 이들의 직고용 요구가 불공정하다며 공단이 고객센터 근로자 고용 문제를 풀기 위해 만든 협의회에 참여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김 이사장은 단식에 들어가며 고객센터 노조에는 파업 중단을, 정규직 노조에는 협의회 참가를 요구했지만 양쪽 모두 시큰둥한 반응입니다. <br> <br>중재를 해야 할 조직 수장이 단식 투쟁을 하는게 맞냐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[이경화 /민노총 국민건강보험 고객센터지부] <br>"공공기관의 수장께서 하실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.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당사자가 저희 노조와 건보 노조에 던지고…" <br> <br>현재 고객센터 업무는 비노조원 650명이 분담하는 상황, <br> <br>넘치는 대기 콜은 전국 178개 지사 직원들이 대신 처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강경모입니다. <br> <br>kkm@donga.com <br>영상취재: 김민석 <br>영상편집: 이혜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