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~3년뒤 또 치킨게임?…해운사들 몸집 불리기 가속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글로벌 화물운송 대란으로 화주들은 울상이지만 해운사들은 모처럼 찾아온 호황에 대대적인 선박 발주에 들어갔죠.<br /><br />그런데 대형선사와 중소형 해운사간 격차가 커서, 10년전 치킨게임 악몽이 되살아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우리 국적선사 HMM은 잘 대비하고 있는 걸까요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글로벌 해운사 2위 MSC가 올해 새로 주문한 선박은 72만TEU.<br /><br />HMM의 선복량에 거의 육박하는데, 글로벌 해운사 1위 머스크가 신규 발주하지 않는다면 2~3년 뒤 선복량 1위 선사에 오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점유율 7위인 에버그린은 67만TEU, 4위 CMA CGM 53만TEU 규모의 신규 선박을 발주했습니다.<br /><br />HMM도 10만TEU 가까운 신조를 준비중이지만 글로벌 탑7 해운사들에 비하면 낮은 수준입니다.<br /><br />9·10위 선사도 발주를 늘리고 있는 중입니다.<br /><br />2025년까지 선복량을 112만 TEU까지 끌어올린다고 했지만 상위 선사들과의 몸집 차이는 점점 더 벌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선박들이 2~3년 뒤 인도되면 컨테이너선 공급과잉으로 치킨게임 경쟁이 또다시 재개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컨테이너선 발주량은 지난해 105척에서 올해와 내년엔 연평균 210척, 2027년 이후에는 301척으로 늘 것이란 전망도 있습니다.<br /><br />한진해운이 몰락한 것도 메이저 선사들이 선복량을 바탕으로 저가운임 공세를 펼치자 버티지 못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HMM은 미주항로 보강과 친환경 선박 도입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 "화물을 대형으로 실어나르는 경쟁하는 시장에서 벗어나서 항공화물로 가기에는 비싸고, 선박으로 하기에는 운송이 길다고 생각하는 화물군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적정선박을 건조하는 것이 미래 이윤을 보장하고, 나가야할 길이 아닌가."<br /><br />일각에서는 국제해사기구의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초대형 친환경 선박발주를 더 늘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