빨라진 금리인상 시계…"11월 인상 전망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국은행의 금리 인상 시계가 빨라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열린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, 이주열 총재를 뺀 6명 위원 중 4명이 인상 필요성을 언급한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전문가들은 11월쯤 인상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동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4월 우리나라 시중 통화량은 3,363조 원으로 한 달 전보다 50조 원 넘게 급증했습니다.<br /><br />2002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늘어난 액수가 최대였습니다.<br /><br />시중에 돈이 이렇게 넘치며 주식, 부동산 등 자산시장이 고공행진을 하는 중인데 이런 유동성 잔치가 불러올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27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에서 의장인 이주열 총재를 제외한 6명의 위원 중 4명이 긴축 선호 색채를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위원들은 "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조금씩 조정해 가야 한다", "정책 기조 정상화가 지나치게 미뤄져서는 안 된다"고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금리 인상 필요성은 공감대를 이뤘고 시기 결정만 남은 겁니다.<br /><br />연내 기준금리를 정하는 금통위는 앞으로 7월, 8월, 10월, 11월 모두 네 차례.<br /><br />증권가에서 가장 힘이 실리는 시나리오는 한은이 2분기 경제성장률이 나오는 7월쯤 인상 방침을 굳히고 11월쯤 인상할 것이라는 겁니다.<br /><br /> "10월 정도 되면 명확하게 '다음 달에는 금리를 올립니다'라는 메시지의 소수의견이 나오고 11월달 인상 이렇게 보거든요. 정상화, 그리고 금융안정 이게 기본 메커니즘…"<br /><br />다만, 경기 회복세가 탄탄하지 않은 상태에서 금리가 급격히 오를 경우 가계와 기업 부실이 늘고 결국 금융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도 있는 만큼, 연착륙 방안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