혈소판 감소 혈전증 2번째 환자 사망…국내 첫 사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접종한 30대 남성이 혈소판 감소 혈전증 판정을 받고 숨졌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백신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꼽히는 이 질환으로 인한 사망 사례는 국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당국은 뒤늦게 접종 후 이상 반응 발생과 사망까지의 경과를 검토해 보완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정인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내에서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으로 숨진 첫 사례가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27일 아스트라제네카 잔여 백신을 접종한 30대 남성입니다.<br /><br />이 환자는 접종 9일이 지난 이달 5일 심한 두통과 구토 증상이 나타났고 이후 진료를 받았지만 호전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<br /><br />접종 12일 뒤인 이달 8일에는 증상이 악화돼 의식에도 문제가 있어 상급병원에서 정밀 검사를 받았고, 혈소판 감소와 함께 혈전과 출혈이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이후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았지만 끝내 숨졌고, 대뇌정맥동 혈전증으로 인한 뇌출혈이 사망원인으로 추정됐습니다.<br /><br />숨진 환자의 확인된 기저질환은 없었습니다.<br /><br />방역 당국은 피해보상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고, 역학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접종 후 이상 반응 발생과 사망까지의 경과를 검토해 보완책을 찾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백신 부작용인 혈소판 감소 혈전증 사례가 국내에서 두 번째로 확인됐는데도 당국이 늑장 대응해 문제를 키웠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국민들에게 백신 접종을 요청했으면 정부는 안전성에 대해서 확고한 책임을 지고 관리를 해야 하거든요."<br /><br />방역 당국은 접종 4주 내 호흡곤란, 흉통, 복부 통증, 팔다리 부기가 나타나고, 접종 후 이틀 이상 두통이 지속되고, 구토를 동반하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즉시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접종 부위가 아닌 곳에 멍이나 출혈이 생긴 경우도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인용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