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가 금리 인상 시기를 2023년으로 앞당기는 등 예상보다 통화 긴축을 선호하는 입장을 내놓았다고 한국은행이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사흘 연속 최고가를 경신하던 코스피는 엿새 만에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이종수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은행은 이번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, FOMC 회의 결과를 놓고 통화금융대책반 회의를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헌 한은 부총재는 "이번 FOMC 회의 결과는 예상보다 다소 매파적,통화긴축 선호적이었던 것으로 평가된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"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시장 불안 요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 시 시장 안정화 조치를 실시할 계획"이라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"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결과로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이 다소 확대됨에 따라 우리 금융시장도 일부 영향을 받을 수 있다면서 차분하게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"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는 이달 정례회의에서 현행 '제로 금리'를 유지했지만 경제 성장률과 물가 전망치를 상향 조정하고, 점도표상 금리 인상 예상 시기를 2023년으로 앞당겼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파월 의장은 기자회견에서 "테이퍼링 문제를 논의할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증권가에선 이를 두고 "미 연준이 자산매입 축소, 테이퍼링 논의를 이미 시작했다"며 오는 8∼9월에는 공식화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 결과로 미 국채 금리가 오르고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사흘 연속 최고가를 경신해온 코스피는 하락하며 마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외국인이 3천500억 원 가까이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지만 개인이 1조 넘게 사들이면서 급락을 막았습니다. <br /> <br />[서상영 / 미래에셋증권 연구원 : 달러-원화 환율 외환시장이 큰 폭으로 상승했어요. 10원 이상 올랐고요. 또 하나가 국채금리가 큰 폭으로 올랐고요. (이렇게 되면) 자그마한 이슈에도 변동성을 키울 수가 있는데…] <br /> <br />다만 변동성 장세는 그리 오래가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서상영 / 미래에셋증권 연구원 : 다음 주 22일 날 파월 연준 의장이 미 하원에 출석해서 증언이 또 있습니다. 파월 연준 의장은 22일 날 그와 관련돼 시장을 다독거리는 온건한 발언들을 할 가능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61721131816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