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가상화폐 광풍이 한동안 휩쓸고 갔죠.<br> <br>우리나라는 유독 거래되는 코인 종류가 다양한데 이유가 있었습니다.<br> <br>황규락 기자가 코인을 제작해 봤더니 단돈 10만 원이면 1억 개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블록체인 개발자에게 채널A 라는 이름의 가상화폐 제작을 의뢰해 봤습니다. <br> <br>[김준수 / 블록체인 개발자] <br>"코인 만드는 거 쉽죠. 개발비를 제외 한다면 10만 원 정도로 만들 수 있어요." <br> <br>특정 프로그램에 이름과 수량을 입력한지 10분 만에 가상화폐 지갑으로 1억 개가 들어왔습니다. <br> <br>[김준수 / 블록체인 개발자] <br>"의뢰는 되게 많이 들어오죠. 도박사이트에서 칩 대신에 자기들 코인을 쓸 수 있게 해달라. 다단계 코인을 만들어서 마케팅을 엄청 뿌려서 하나에 백 원에 팔고…" <br> <br>이렇게 제작한 코인을 가상화폐 거래소에 상장만 하면 거래가 시작되는데 전국에 거래소만 230여 개로 추산됩니다. <br> <br>손쉽게 제작된 코인은 다단계 사기에 이용 되기도합니다. <br> <br>120만 원을 내면 자신들이 만든 코인 300개를 주고, 회원을 추천하면 코인을 더 준다고 홍보 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코인 1개가) 10만 원 정도가 된다면 어떻게 될까. 이걸 상상하시면서 공짜로 받으신 거예요…" <br> <br>해당 코인의 현재 가격은 100원도 안 되는 상황. <br> <br>언젠가 오를 거라는 말만 믿었던 A씨는 천만 원을 날렸습니다. <br> <br>[코인 다단계 피해자] <br>"코인 받으면 뭐하겠어요. 써먹지도 못하는 거." <br>"원금이라도 회수하기 위해서 계속 접촉을 하고 있는데." <br><br>금융당국이 우후죽순 같은 코인 상장에 제동을 걸자 업비트나 빗썸 등 대형 거래소들이 대규모 잡코인 정리에 나섰고, 일부 중소형 거래소들은 폐쇄될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><br>문제는 본격적인 제도 정비 전, 피해자들을 노리는 사기가 기승을 부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. <br> <br>[최화인 / 블록체인 전문가] <br>"이미 어떤 거래소들은 마지막으로 한 번 크게, 이용자들의 자산을 끌어당기기 위해서 사기성 프로젝트를 기획한다든가 실제로 여러 가지 프로젝트들이 진행되고 있고요." <br> <br>이 때문에 특정금융정보법 개정안이 시행되는 9월까지는 중소형 거래소에서의 거래를 주의해야 하고 또 월별, 분기별 확실한 수익을 장담하면 거래를 피해야 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규락입니다. <br> <br>rocku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승훈 이승헌 <br>영상편집 : 오영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