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대화와 대결은 양립하기 어렵다,<br> <br>북한이 최근 한미훈련을 트집 잡으며 했던 말인데 스스로 그 말을 뒤집었습니다.<br> <br>마침 성김 대북특별대표가 한국을 찾기 딱 하루 전. 대화 대결 둘 다 준비하겠다고 한 건데요.<br> <br>이번엔 어떤 속내일지 워싱턴 유승진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노동당 중앙위 전원회의를 주재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. <br> <br>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 정책을 분석했다면서 첫 공식 메시지를 내놨습니다. <br> <br> 강경한 대응과 '대화'를 함께 준비하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 (어제)] <br>"대화에도 대결에도 다 준비되어 있어야 하며, 특히 대결에는 더욱 빈틈없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셨습니다." <br><br>이에 대해 미 행정부 고위 당국자는 채널A에, "북한과의 외교에 열려있고 이를 모색할 조율되고 실용적인 접근법이 우리 정책"이라며, "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우리 목표는 여전하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 북한이 대화 가능성은 열어뒀지만 그 메시지가 선명하지 않은 만큼, 미국도 일단 기존 입장을 반복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> <br> 다만 당국자는 북핵협상을 총괄하는 성 김 대북특별대표의 방한을 언급했습니다. <br> <br>[성 김 / 미 대북특별대표] <br>"한국 정부의 노규덕 수석대표와 동료들, 일본의 후나코시 수석대표와 동료들과 생산적인 만남을 기대합니다." <br> <br> 북한이 꺼내든 두 카드에 대해선 말을 아꼈습니다. <br> <br>[성 김 / 미 대북특별대표] <br>"(북한의 메시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? 긍정적인 신호라고 보십니까?) …" <br><br>"북미가 일단 각자 대화 의지를 내비쳤지만, 마땅한 명분이 없는 상황에서 북한이 강경한 태도를 접고 당장 대화로 나오긴 쉽지 않을 거란 관측도 나옵니다.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" <br> <br>promotion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이재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