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대화·대결 준비" 김정은 발언 직후라 주목 <br />한미일, 김 위원장 발언 분석·평가 공유할 듯 <br />이번 협의 일정은 북한 행보와 무관하게 결정<br /><br /> <br />한국과 미국, 일본의 북핵 수석대표가 내일 미국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잇따라 만나 대북정책 공조 방안을 논의합니다. <br /> <br />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대화 가능성을 열어둔 메시지를 내놓은 가운데 한미일 3국이 대화 재개 방안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김도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성김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의 방한을 계기로 한미일 3국 북핵 수석대표 간 협의가 잇따라 열립니다. <br /> <br />오전 한미 협의에 이어 한미일이 만나고, 오후에는 한일 협의가 진행됩니다. <br /> <br />이번 협의는 공교롭게도 대화 가능성을 열어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메시지가 나온 직후 열려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김 위원장이 직접, 대화를 비중 있게 언급한 것은 재작년 4월 이후 처음으로, 통일부는 전보다 절제되고 유연한 메시지라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미국은 특별한 평가 없이 외교에 열려있다는 원론적 입장만 내놔 온도차가 엿보입니다. <br /> <br />한미일 대표들은 협의에서 김 위원장의 발언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공유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이번 협의 일정 자체는 북한과 무관하게 정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외교부 당국자는 지난달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한 대북정책의 후속조치 마련에 이번 협의의 중점을 두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서정건 /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: 한미일 3국 간 동맹 공조를 통해 북한 문제를 푼다는 미국의 메시지를 재확인하고, 동시에 한국 정부로부터 북한 관련 대화 돌파구 전략을 청취하려는 의도가 아닌가 해석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판문점 선언과 싱가포르 선언에 기초한다는 공감대에 이어 대화 재개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게 관건입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미국의 적대정책 철회를 요구하고 있고, 코로나19 확산도 극도로 경계하고 있어 쉽게 대화에 응할 가능성은 낮아보입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고 미국이 선제적인 양보를 할 상황도 아니어서, 비핵화 협상 재개를 위한 묘수를 찾을 수 있을지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도원[dohw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62022184918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