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천 쿠팡 물류센터는 불이 난 지 닷새가 지났지만 아직도 잔불이 남아있습니다. <br> <br>초기에 제대로 대응을 못한 게 이런 큰 화를 부른 거죠. <br> <br>화재 초기 스프링클러가 8분 동안 작동하지 않았는데, 임의로 조작한 건 아닌지, 경찰이 조사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전민영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철근 뼈대만 남은 물류센터 건물. <br> <br>소방당국은 스프링클러 작동이 지연됐을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. <br> <br>[이상규 / 경기도소방재난본부 본부장 (어제)] <br>"정확하게는 최종 결과가 나와야겠지만 저희가 한 조사로는 8분 정도 (스프링클러 작동) 지체가 이뤄진 걸로." <br> <br>불이 났는데도 스프링클러가 늦게 작동했다는 쿠팡 직원의 진술이 있었던 겁니다. <br> <br>다른 화재 현장에서도 스프링클러의 오작동 때문에 자동을 수동으로 바꿔 뒤늦게 물이 분사된 사례가 있다는 게 소방당국의 설명입니다. <br> <br>스프링클러를 임의로 조작한 사실이 확인되면 관련자가 처벌받는 건 물론 보험사에서 받을 손해배상액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. <br> <br>쿠팡 덕평물류센터는 4천억 원대 재산종합보험에 가입했는데, 이를 국내 손해보험사와 재보험사 해외보험사들이 나눠서 배상 책임을 분담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보험사 관계자] <br>"전체 손해액이 몇 천억이 되든 저희 보험사에서는 (최대) 70억 정도. (쿠팡 측) 과실이 있으면 줄어들겠죠." <br> <br>경찰과 소방당국은 불이 완전히 꺼지면 합동 감식을 통해 스프링클러가 제때 작동했는지 조사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소방당국은 오늘 2차 안전진단을 마친 뒤 모든 층에 소방대원을 투입해 잔불을 정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만 건물 붕괴 같은 추가 피해 위험으로 중장비는 투입하지 않기로 해 불이 완전히 꺼지는데는 시간이 더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전민영입니다. <br> <br>pencake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영재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