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 연준서도 긴축 의견 갈려…파월 "일시적 인플레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금리 인상 시점에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 안에서도 의견이 갈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제롬 파월 의장은 최근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인 것이며, 물가 상승은 장기 목표치인 2%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김영만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최근 인플레이션 물가 상승은 일시적인 것이며, 장기적으론 목표치인 2%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.<br /><br />파월 의장은 하원에 제출한 자료를 통해 미국 경제가 건강한 속도로 회복하고 있으며, 이것이 물가 상승을 자극하는 것으로 진단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몇 달간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졌는데,<br /><br />지난해 코로나19 세계 대유행 초기 물가 하락으로 인한 기저 효과, 경제 재개에 따른 소비 확대, 공급 장애 등 요인이 겹쳤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이러한 일시적인 공급 효과가 사라지면 물가 상승은 장기 목표치인 2%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고 파월 의장은 예상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연준은 현재 월 1,200억 달러, 136조 원 수준인 자산매입 규모 축소 시기와 방법에 관해 공식 논의를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연준은 시기를 앞당겨 2023년 두 차례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연준이 경기 부양이라는 기존 입장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도,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준비가 돼 있다는 신호를 보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연준 인사들 사이에선 금리 인상 시점과 긴축 전망을 두고 견해가 엇갈리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존 윌리엄스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경기 회복을 위한 연준의 부양책을 축소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면서,<br /><br />경제 지표와 여건이 통화정책 기조를 바꿀 정도로 충분히 진전되지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예상보다 높은 물가 상승 때문에 이르면 내년 말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영만입니다. (ymkim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