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, 오늘은 김기표 대통령 반부패 비서관이 사실상 경질됐다는 소식부터 전해드립니다. <br> <br>부동산 민심을 못 잡으면 대선에서 승리할 수 없다, 판단해설까요.<br><br>문재인 대통령이 논란이 일고 이틀 만에, 악재를 차단했습니다.<br> <br> 일반 국민들은 집 사느라 대출받기도 쉽지 않은데, 공직자가 50억 넘는 ‘영끌’ 대출로 상가를 샀다, 물론 불법은 아닙니다만 국민정서와 한참 맞지 않았던 건 사실입니다.<br> <br> 나랏일하며 솔선수범하지 않는다면 누가 국가 정책을 믿고 따르겠는가,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 됩니다.<br> <br> 먼저. 김윤수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'부동산 투기 의혹'을 받고 있는 김기표 대통령 반부패비서관이 사의를 표명하자 문재인 대통령이 즉각 수용했다고 청와대가 밝혔습니다. <br> <br>지난 3월 임명된 지 3개월 만이자 지난 25일 고위공직자 재산 공개를 통해 투기 의혹이 제기된 지 이틀 만으로 사실상 경질된 겁니다. <br> <br>[박수현 / 대통령 홍보수석] <br>"국민이 바라는 공직자의 도리와 사회적 책임감을 감안할 때 더 이상 국정 운영에 부담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뜻을 밝혔습니다." <br> <br>김 비서관이 신고한 재산은 39억여 원<br><br>이 가운데 부동산 재산만 91억원 가량이었고 54억 원의 은행 빚을 내 서울 마곡동 상가 등을 사들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부동산 투기 논란을 빚었습니다. <br> <br>경기도 광주에 매입한 '맹지'도 개발지역과 인접해 차익을 노린 것이 아니냐는 의혹까지 제기됐습니다. <br> <br>어제까지만 해도 김 비서관은 반박 자료를 내며 의혹을 해명했고 청와대도 "부동산 투기는 아니다"고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여론이 심상치 않자 내년 대선을 앞두고 부동산 민심 악화를 서둘러 차단해야 한다는 판단이 작용했습니다. <br> <br>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"인사 검증 시스템은 완전하지 않다"며, "비판을 겸허하게 수용한다"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국민의힘은 "인사참사의 책임이 청와대에 있다"고 공세를 이어갔습니다. <br> <br>[황보승희 / 국민의힘 수석 대변인] <br>"청와대가 인사검증과정에서 투기 의혹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무능이고, 알고도 임명을 강행한 것이라면 국민 기만입니다." <br> <br>공직기강을 다잡아야 할 반부패비서관이 논란의 당사자가 되면서 부실 인사 시스템 논란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수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