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당인 더불어민주당도 뜨겁긴 마찬가집니다.<br> <br>내일, 대선 예비후보 등록을 시작하는데요.<br> <br>경선 연기 논란, 연기 안 하는 걸로 매듭짓자 마자 이번에는 경선 방식을 놓고 입장이 갈렸습니다.<br> <br>이 소식은 김철웅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본격적인 경선 레이스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 대선 주자들은 5차 전 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범위를 놓고 맞붙으며 경쟁에 돌입했습니다. <br><br>정세균 전 총리가 “상위1% 부자에게도 지원금 주는 게 맞냐”며 전국민 재난지원금을 주장하는 이재명 지사를 선제 공격하자 이 지사가 "고소득자에 대한 역차별“이라고 반박하며 주말 내 공방을 벌였습니다.<br> <br>경선 방식을 둘러싼 후보간 신경전도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이재명 지사를 추격하는 후보들측에서 토론배틀, 대국민 합숙면접 등 경선에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자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[박용진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다양한 방식의 후보간 토론을 만들자. 6명 혹은 9명 다 세워놓고 1분 30초씩 대답하라는 낡은 방식은 벗어나야 됩니다." <br> <br>[최문순 / 강원도지사 ] <br>“(토론회) 질문 대상이나 순서 다 정해지게 될 것 같습니다. 변별성 가지는 건 불가능하게 진행되지 않나. <br><br>현행 당 규정에는 합동연설회와 토론회만 명시돼 있는데, 흥행을 위해 룰을 바꾸자는 겁니다. <br> <br>[양승조 / 충남도지사] <br>"과감하게 규정 바꾸더라도… 3인 1조 돼서 3번, 4번 하면 전부 상대 바꿔가면서 토론할 수 있거든요." <br> <br>지난 2017년 대선 때도 당시 지지율 1위였던 문재인 후보는 일반 토론회를 선호했습니다. <br> <br>반면 당시 이재명 후보는 자유로운 공격과 수비가 가능한 끝장토론으로 바꾸자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강훈식 대선경선기획단장은 "1위 후보가 서운할 정도로 다른 후보들의 요구사항을 다 수용할 것“이라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철웅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최동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