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4억 원을 대출받아 부동산을 샀지만, 투기는 아니라고 해명하던 김기표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이 해명 하루 만에 결국 자리에서 물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인사 검증 당시 이 같은 사실을 알았다는 청와대는 부실 검증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입니다. <br /> <br />홍선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해명 자료까지 내며 투기 의혹을 부인하던 김기표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이 해명 하루 만에 결국 사퇴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수현 / 청와대 국민소통수석 : 반부패비서관은 투기 목적으로 부동산을 취득한 것이 아니더라도 국민이 바라는 공직자의 도리와 사회적 책임감을 감안할 때 더 이상 국정 운영에 부담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뜻을 밝혔습니다.] <br /> <br />문재인 대통령도 김 비서관의 사의를 즉각 수용했습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 구입을 위해 54억 원을 대출받았지만, 투기는 아니라는 김 비서관의 해명이 이른바 '영끌 투기' 논란을 잠재우지 못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해명이 국민을 납득시키지 못했다면 인사권자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사실상 인사권자인 문 대통령이 김 비서관을 경질한 셈입니다. <br /> <br />길도 없는 맹지를 사놓고 개발과는 무관하다는 해명은 물론, 대출받은 54억 원의 사용처를 설명하지 못한 점이 설득력이 없다고 본 겁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이 같은 사실을 김 비서관 임명 당시에 이미 청와대가 알고 있었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는 인사 검증 당시 부동산 내역과 자금 조달 방식을 확인했지만, 투기 목적은 아닌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때는 문제가 없다고 보고 임명해 놓고, 이제 와서 국민 눈높이를 이유로 경질했다는 건데, 비판이 제기될 수밖에 없는 대목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는 부실 검증 지적에 대해서는 인사 검증 시스템이 완전하지 않다고 강조하고, 비판을 겸허히 수용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는 인사 검증 시스템의 한계를 호소했지만, 청와대의 검증 눈높이가 국민 눈높이와 맞지 않는 것은 아닌지 되짚어 볼 대목입니다. <br /> <br />YTN 홍선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62722074500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