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다음 소식입니다. <br> <br>주말 사이에 김기표 대통령 반부패비서관이 자리에서 물러났습니다. <br> <br>54억 빚내서 상가 사고, 개발 지역 옆에 맹지 사고, 부동산 투기 의혹이 불거지자 빠르게 정리한 건데, 논란은 끝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LH 사태가 터졌을 당시, 그것도 공직자 부패를 감시하는 반부패비서관 자리에 어떻게 이런 사람이 임명됐나, 그 불똥이 김외숙 대통령 인사수석으로 번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야당 뿐 아니라 여당에서도 책임론이 불거지지만, 청와대는 경질은 없다. 선을 그었습니다. <br> <br>김성규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김기표 대통령 반부패비서관이 임명 3개월 만에 물러나자, 김외숙 대통령 인사수석 경질론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도 나오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[송영길 / 더불어민주당 대표] <br>"54억 원을 대출해 60억 원대 땅을 산 사람을 반부패비서관으로 임명한 것은 너무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다. 청와대 인사시스템을 돌이켜봐야 한다." <br> <br>[이상민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스스로 자신의 과오가 있다고 한다면 거취를 빨리 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 인사수석과 민정수석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" <br><br>백혜련 민주당 최고위원도 한 라디오에서 "인사검증 문제는 인사수석 소관이기 때문에 인사수석이 총책임을 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"고 지적했습니다.<br> <br>야권의 비판 수위는 더 셉니다. <br><br>국민의힘 김기현 원내대표는 "김 수석이 진행한 인사는 망(亡)사 투성이었다. 김 수석의 무능은 이제 국민들에게 짜증을 불러일으키고 있다"고 질타했습니다.<br> <br>정의당도 김 수석의 경질을 요구했습니다. <br><br>하지만 청와대는 "비판을 겸허하게 수용한다"면서도 김 수석 경질은 고려하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.<br> <br>집권 5년차 인사 수요가 많지않은 만큼 인사수석을 교체할 실익이 크지 않다는 이유에서입니다. <br> <br>고위공직자 인사검증이 민정수석실 담당인 만큼 인사수석 책임이 아니라는 얘기도 나옵니다. <br> <br>청와대 관계자는 "김 수석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의 신뢰는 여전히 확고하다"고 전했습니다. <br> <br>김외숙 인사수석 거취를 두고 청와대와 민주당 사이 갈등이 빚어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성규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기태 <br>영상편집 :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