백신 덕에 늘어난 산업생산…"개선흐름은 유지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달 산업생산이 소폭 증가세로 돌아섰습니다.<br /><br />제조업, 서비스업 생산이 다 줄었지만, 백신 구매 같은 공공행정 생산이 큰 폭으로 늘어난 영향이었는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증가율은 0.1%에 그쳤고 소비는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이동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5월 산업 생산이 4월 대비 0.1%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4월에는 1.1% 감소했지만 한 달 만에 증가 전환한 겁니다.<br /><br />증가 전환에는 백신 구매 확대의 영향이 컸습니다.<br /><br />공공행정 생산이 2014년 10월 9.7% 이후 6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8.1% 증가율을 기록한 겁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다른 분야는 부진을 면치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에 자동차 생산이 6.6% 줄어든 탓에 전체 제조업 생산이 1% 감소했는데, 제조업 생산 감소는 석 달째입니다.<br /><br />서비스업 생산도 0.2% 감소했는데, 의류·음식료품 등의 판매 감소로 도소매업 생산이 1.3% 위축되고 주식·금융상품 거래 감소로 금융·보험 생산도 1% 줄어든 영향이 컸습니다.<br /><br />소비 지표인 소매 판매도 작년 7월 이후 가장 큰 폭인 1.8% 감소율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소비 증가세에 따른 기저효과와 의류 판매 감소 등의 영향으로 3개월 만에 감소로 돌아선 겁니다.<br /><br />설비 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를 중심으로 3.5% 감소해 지난해 10월 -5%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대부분 지표의 부진과 달리, 현재 경기 흐름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와 향후 경기를 전망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4월보다 각각 0.2포인트와 0.4포인트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통계청은 "주요 지표들이 전체적으로 주춤하는 모습"이라면서도 "4월 수준이 높았던 탓에 조정을 받은 측면이 강해 최근의 개선 흐름은 유지되고 있다"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