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내 대형 방산업체 가운데 하나인 한국항공우주산업, 카이(KAI)에 대한 해킹 공격으로 첫 국산전투기 설계도면 등이 유출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소식이 전해졌지만 정부는 입을 굳게 닫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야당에서는 북한을 해킹의 배후로 기정사실화 하면서 대응책 마련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문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국항공우주산업, 카이(KAI)에 대한 해킹 공격은 올해에만 두 번째입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사실은 KAI가 지난달 28일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면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아직 정확한 피해규모는 드러나지 않았지만, 첫 국산전투기 KF-21과 FA-50 경공격기, 수리온 헬기, 레이더, 무인기 자료 등 KAI의 사업자료가 해킹됐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방위사업청은 정확한 피해규모에 대해 입을 닫았습니다. <br /> <br />[서용원 / 방사청 대변인 : 이 사안에 대해서는 저희 입장에서는 아직 수사하고 조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답변을 드리기가 제한됩니다.] <br /> <br />야권에서는 북한의 소행을 기정사실화 하며 또 다른 업체도 해킹됐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태경 의원은 카이가 국정원으로부터 지난달 16일 해킹 사실을 전달받았다며, 북한 정찰총국이 한국원자력연구원을 해킹할 때와 수법이 같았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[하태경 / 국민의힘 의원 : 국가안보와 국가이익에 끼치는 손해나 위협이 심각하고 중대한 상황입니다.] <br /> <br />그러면서 정부는 국가 사이버 테러 비상사태를 선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, KAI와 전산망이 연결된 미국 방산업체도 위협에 노출됐다며 동맹국 간 외교 문제로 번지기 전에 즉각적인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잠수함을 건조하는 대우조선해양에 이어 국내 대형 방산업체 가운데 하나인 카이 마저 해킹공격에 뚫리면서 정부의 사이버 안보의 취약성을 다시 드러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문경입니다.<br /><br />YTN 김문경 (mk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70121001777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