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전기차 화재로 인명피해까지 발생한 사고가 많았지요. <br> <br>전기차 인구는 무섭게 늘고 있는데, 화재 대비는 잘 돼 있을까요? <br> <br>전기차는 일반차보다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훨씬 힘들다는데, <br> <br>전기차용 진화 장비를 살펴보니 턱없이 모자라는 상황이었습니다.<br><br> 김호영 기자가 알아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소방대원들이 특수 덮개를 씌운 차량에 연신 물을 뿌려댑니다. <br> <br>수십 분 뒤 불꽃은 잡혔지만, 소방대원들은 배터리에 멈추지 않고 물을 뿌립니다. <br> <br>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주차된 전기차에서 불이 난 건 어제 오전 6시쯤. <br> <br>불이 쉽게 꺼지지 않아, 소화포라는 특수덮개까지 동원했지만, 차량 한대의 불을 끄는데 한시간이 걸렸습니다. <br> <br>[박정호 / 당시 출동 대원] <br>"전기차 화재가 발생했다고 하면 피해가 상당히 크게 발생하니까요. (소방관들이)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죠. 위협감도 느끼고요." <br><br>일반 차량과 달리 전기차는 불이 꺼진 뒤에도 열을 축적하고 있던 배터리에서 다시 불이 날 수 있습니다.<br><br>결국, 배터리를 완전히 냉각시켜야 하다 보니 전기차 화재 진압에는 일반 차량보다 3배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. <br><br>불 끄는 시간을 단축 시키기 위해 물을 뿌리는 동시에 산소 차단용 소화포를 덮기도 하지만, 불을 끄는데는 역부족입니다. <br> <br>불이 난 전기차를 통째로 들어 수조에 담그는 특수 소화 수조도 도입하고 있지만, 전국에 보급된 건 2개 뿐입니다. <br> <br>또 전기차 화재 때는 소방대원들의 감전 가능성을 없애기 위해 고전압 케이블을 잘라야 합니다. <br> <br>[박치환 / 소방경] <br>"(고전압 케이블을) 절단할 수 있는 위치가 차마다 달라요. 고정된 위치에 있으면 어떤 전기차든 제일 먼저 그 부위를 절단을 하면 되는데." <br> <br>하지만 감전 위험을 차단하기 위한 전기자동차 구조용 공구세트는 전국에 3개에 불과합니다. <br> <br>현재 전국에 보급된 전기차는 13만 대 정도. <br> <br>정부는 올해 안에 23만대까지 전기차 보급을 늘린다는 계획이어서 화재에 대응할 수 있는 장비 마련도 시급해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호영입니다. <br> <br>kimhoyoung11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유하영<br>